고려대학교 행정학과

QUICK MENU
  • 로그인
  • 사이트맵
  • English

안내(구버전)

CULTURE: 문화, 성, 가족, 사회사, 국제화

1. 사회심리학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CULTURE 핵심전공 2,3 학년 1학기 윤인진 국강
국문요약 사회심리학은 개인의 심리적 과정(학습, 동기, 태도, 감정, 성격 등)과 사회적 환경(성, 연령, 인종 및 민족, 지역, 문화와 관습, 계급. 계층, 정치체계 등)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특별히 개인 수준보다는 집단 수준에서의 사회심리적 현상에 초점을 맞춘다. 본과에서는 첫째, 사회심리학의 주요 이론들과 개념들을 이해하고, 둘째, 서구사회에서의 경험적 연구들을 정리하고, 셋째, 한국사회의 사회심리학적 현상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주된 주제는 자기, 정체성, 귀인, 태도와 행동, 문화와 사회심리, 편견과 차별, 집단심리, 집단 간 관계 등이다.
영문요약 Social psychology studies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psychological processes and social environment. This course covers a review of major theories, concepts, and existing literature of social psychology in both Western societies and Korean society.
강의자료 한규석. 2009년(3판).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한성열·심경섭·한민·이누미야 요시유키. 2015. 『문화심리학: 동양인 서양인 한국인의 마음』. 학지사.
이수 후
권장과목
국제이주와 다문화사회
기대효과 사회현상을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음
최근 강의계획서
사회 심리학(Social Psychology)

2015년 가을학기
학수번호 : SOCI240
면담시간 : 월/수/목/금 2시~4시(예약면담 가능)
전화번호 : 3290-2490, 010-6324-2490
교수 : 윤인진
연구실 : 아세아문제연구소 205호
E-mail : yoonin@korea.ac.kr
현재 강의계획서는 초안으로 최종 강의계획서는 강의 전에 업데이트되어 블랙보드에 등록될 예정.

강의 개요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은 어떤 것일까? 한국인 중에도 개인별로 성격 차가 클 텐데 한국인의 성격이라고 말할 것이 있을까? 만일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일본인, 중국인, 그리고 미국인의 것과 어떻게 다를까? 남북이 분단된 지 반 세기가 지난 현재 남한주민과 북한주민의 가치관과 행동양식은 어떻게 다를까? 남한에 거주하는 북한출신 이주민은 남한에서 살면서 어떠한 문화충돌과 문화접변을 경험하는가? 단일민족의 신념이 강한 한국인은 다문화사회를 살아가면서 인종, 민족, 문화적 배경이 다른 외국인과 이주민에 대해 어떤 태도변화를 보이는가? 이런 질문들은 인종, 민족, 국적, 문화배경이 다른 사람들을 접하게 될 때 누구나 갖게 되고 해답을 얻고자 하는 것들이다. 사회심리학은 개인의 심리가 그의 고유하고 독특한 특성이라고 보기보다 그가 속한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형성된 정형화된 산물(patterned product)이라는 관점을 취한다. 즉 사회심리는 토양과 같아서 같은 나무라도 토양에 따라 잘 성장할 수도 있고 감퇴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같은 제도라도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회심리에 따라 달리 해석되고 운영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사회의 사회심리를 이해하는 것은 사회문제의 해결과 사회발전의 지혜를 얻는데 필수적인 조건이다.

사회심리학은 개인의 심리적 과정(학습, 동기, 태도, 감정, 성격 등)과 사회적 환경(성, 연령, 인종 및 민족, 지역, 문화와 관습, 계급. 계층, 정치체계 등)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특별히 개인 수준보다는 집단 수준에서의 사회심리적 현상에 초점을 맞춘다. 본과에서는 첫째, 사회심리학의 주요 이론들과 개념들을 이해하고, 둘째, 서구사회에서의 경험적 연구들을 정리하고, 셋째, 한국사회의 사회심리학적 현상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주된 주제는 자기, 정체성, 귀인, 태도와 행동, 문화와 사회심리, 편견과 차별, 집단심리, 집단 간 관계 등이다.

교과서

(1) 한규석. 2009년(3판).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 한성열·심경섭·한민·이누미야 요시유키. 2015. 『문화심리학: 동양인 서양인 한국인의 마음』. 학지사.

참고서

(1) 한덕웅 외. 2005. 『사회심리학』. 학지사.
(2) David Matsumoto and Linda Juang. (신현정·이재식·김비아 옮김). 2013. 『문화와 심리학』 (제5판) 박학사.
(3)윤인진 외(공역). 2001. 『자아와 사회: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사회심리학』(Self and Society: A Symbolic Interactionist Social Psychology). (원저자 John Hewitt). 서울: 학지사.
(4) Cookie W. Stephan and Walter G. Stephan. 1990. Two Social Psychologies. Belmont, CA: Wadsworth. (중앙도서관에 비치)

※ 추가 읽기자료는 블랙보드에 등록될 예정임.

과제‧기타

학점은 중간고사 (40%), 기말고사 (40%), 과제(리포트 포함) (20%)에 의해서 결정됨.

학습진도

1주: 교과소개 및 과제물 설명

교과서. 1장. 사회심리학의 소개

<추천 읽기자료>
『사회심리학』, 1장. 사회심리학은 어떤 학문인가

2주: 사회심리학의 정의와 연구영역

교과서. 1장. 사회심리학의 소개

<추천 읽기자료>
『사회심리학』, 1장. 사회심리학은 어떤 학문인가
『자아와 사회』, 1장. 사회심리학과 상징적 상호작용론
Two Social Psychologies, 1장. The Two Social Psychologies

3주: 자기와 사회(Self and Society)

교과서. 2장. 사회생활과 자기

<추천 읽기자료>
『사회심리학』, 3장. 자기
『자아와 사회』, 3장. 자아와 사회적 상황
『자아와 사회』, 4장. 사회적 상호작용과 행위의 형성
Two Social Psychologies, 4장. Socialization
Two Social Psychologies, 5장. The Self

4주: 인상형성(대인지각)과 귀인

교과서. 3장. 인상형성(대인지각)과 귀인

<추천 읽기자료>
『사회심리학』, 4장. 사람지각과 행동의 설명
『자아와 사회』, 1장. 사회심리학과 상징적 상호작용론
Two Social Psychologies, 2장.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5주: 사회생활 속의 추론과 판단

교과서. 4장. 사회생활 속의 추론과 판단

<추천 읽기자료>
『사회심리학』, 2장. 사회적 추론과 판단

6주: 태도

교과서. 5장. 태도와 태도변화

<추천 읽기자료>
『사회심리학』, 5장. 태도와 행동
Two Social Psychologies, 10장.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7주: 태도변화

교과서. 5장. 태도와 태도변화

<추천 읽기자료>
『사회심리학』, 6장. 설득과 태도변화
Two Social Psychologies, 10장.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8주: 중간고사

9주: 집단 속의 개인

교과서. 9장. 집단 속의 개인

<추천 읽기자료>
『사회심리학』, 7장. 타인의 영향
Two Social Psychologies, 14장. Groups

10주: 집단 간 관계

교과서. 9장. 집단 속의 개인

<추천 읽기자료>
『사회심리학』, 8장. 집단의 의사결정
『사회심리학』, 9장. 집단의 과제수행
『사회심리학』, 10장. 집단 간 관계
Two Social Psychologies, 13장. Aggression
Two Social Psychologies, 15장. Intergroup Relations
Two Social Psychologies, 16장. Collective Behavior

11주: 사회갈등과 친사회적 행위

교과서. 8장. 사회의 갈등과 친사회적 행위

<추천 읽기자료>
Two Social Psychologies, 12장. Prosocial Behavior
윤인진. 2011. “한국인의 갈등의식의 특성과 변화: 2007년과 2010년 한국인의 갈등의식조사 결과 분석.” 『분쟁해결연구』 9(2): 135-166. (EKU 등록)

12주: 고정관념, 편견과 차별

교과서. 10장. 고정관념, 편견과 차별

<추천 읽기자료>
윤인진. 2011. “민족에서 국민으로: 재외동포, 북한이탈주민,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인식변화.”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여론조사를 통해 본 한국인의 정체성』(강원택·이내영 편). 제7장.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EKU 등록)
한민. 2011. “문화진화론적 인종도식의 영향: 한국인들의 인종에 대한 이중적 태도.” 『아세아연구』 54권 2호: 323-368. (EKU 등록)

13주: 문화심리학

교과서. 11장. 한국인의 사회심리

<추천 읽기자료>
『문화와 심리학』, 1장. 문화와 심리학 서설
『문화와 심리학』, 13장. 문화와 자기 그리고 정체감
『사회심리학』, 13장. 한국문화의 현재와 미래
한규석·최상진. 2000. “문화심리학적 연구방법론.” 『한국심리학학회지 사회 및 성격』, p.123-144. (EKU 등록)
리처드 니스벳(최인철 역). 2004. 『생각의 지도』. 김영사.

14주: 문화 간 비교연구

교과서. 11장. 한국인의 사회심리

<추천 읽기자료>
『문화와 심리학』, 2장. 비교문화 연구방법
『문화와 심리학』, 10장. 성격과 문화
『문화와 심리학』, 14장. 문화와 사회행동

15주: 한국인의 사회문화심리

교과서. 11장. 한국인의 사회심리

<추천 읽기자료>
『문화와 심리학』, 15장. 조직과 문화
『사회심리학』, 14장. 한국인의 성격과 가치

16주: 기말고사
2. 문화사회학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언어
CULTURE 핵심전공 2,3학년 2학기 국강
국문요약 록은 단순한 문화 콘텐츠를 떠나 다양한 시대정신과 의미를 내포하는 사회문화양식인 동시에 전 세계를 아우르는 미디어 콘텐츠이다. 본 수업은 1950년대와 60년대의 록의 발전사를 역사, 사회, 문화, 기술, 산업적인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는 문화사회학 수업이다.
영문요약 This course examines the evolution of rock and roll in the 50s-60s and emphasizes its relations to history, society, culture, technology, geography, generational identity, and other mass media forms, such as journalism, television, film, the music industry, and radio, etc.
강의자료 Paint it Rock: A Comic Book of Rock History Vol. 1
최근에는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 록음악의 역사학적 고찰이 주가 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학생들이 흥미 있게 읽을 수 있는 유명인들의 에세이 혹은 소개글을 부수 리딩 자료로 사용하고 있음.
선수과목  
이수 후
권장과목
The Music Industry, Culture and Society
(2학기 개설 제안 과목)
기대효과 21세기를 맞이하면서 팝음악의 글로벌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 대중음악의 뿌리와 역사를 되찾아 보고 그 태동과 발전을 점층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록을 단순한 엔터테인먼트 텍스트가 아닌 사회, 문화, 역사의 산물로 인식하고 접근하여 대중음악 역사 및 문화사회학적 영향력에 대한 올바른 기본적 지식과 소양을 습득한다.
최근 강의계획서


과목개요

사회학에서 문화가 지니는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문화 연구의 다양한 관점과 접근법을 익히며, 문화가 사회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을 탐구한다.

학습목표

강의를 통해 주요한 이론적 성과들을 검토하고, 아울러 현대의 문화적 단면을 보여주는 특정 주제들을 선별하여 발표, 토론을 진행함으로써 문화의 이해 능력을 증진시킨다.

수업자료

필립 스미스, 한국문화사회학회 역(2008), 『문화 이론: 사회학적 접근』, 이학사.

<참고교재>

한국문화사회학회(2012), 『문화사회학』, 살림.
존 스토리, 박만준 역(2012), 『대중문화와 문화이론』, 경문사.
제프리 C. 알렉산더, 박선웅 역(2007),『사회적 삶의 의미: 문화사회학』, 한울아카데미.

<그 외 읽을거리>

랜들 콜린스, 진수미 역, 2009, 『사회적 삶의 에너지: 상호작용 의례의 사슬』, 한울아카데미.
셰리 터클, 이은주 역, 2012, 『외로워지는 사람들』, 청림출판.
닐 포스트먼, 홍윤선 역, 2009, 『죽도록 즐기기』, 굿인포메이션.
기욤 에르네, 권지현 역, 2010, 『파리를 떠난 마카롱』, 리더스북.
밥 애슬리 외, 박형신·이혜경 역, 2014, 『음식의 문화학』, 한울아카데미.

다음의 주제들에 관해 우리 사회에서 경험되는 일상적 소재를 찾고,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5명 내외로 팀을 구성, 그룹 스터디 후 발표 진행)

주제1: 정보기술 소비와 관계성
주제2: 대중문화와 미디어
주제3: 유행을 통해 본 소비사회

학습계획

기 간 학 습 내 용
1 09.01 - 09.07 문화연구의 과제와 방법 주교재-1장
2 09.08 - 09.14 추석 (휴강)  
3 09.15 - 09.21 맑스주의 3장
4 09.22 - 09.28 뒤르케임주의 5장
5 09.29 - 10.05 문화주의 9장
6 10.06 - 10.12 구조주의 6장
7 10.13 - 10.19 후기구조주의 7장
8 10.20 - 10.26 중간고사 중간고사
9 10.27 - 11.02 구조와 행위의 통합 8장
10 11.03 - 11.09 정신분석학적 접근 12장
11 11.10 - 11.16 포스트모더니즘 13장
12 11.17 - 11.23 발표Ⅰ  
13 11.24 - 11.30 발표Ⅱ  
14 12.01 - 12.07 발표Ⅲ  
15 12.08 - 12.14 발표Ⅳ 주교재-1장
16 12.15 - 12.21 기말고사 기말고사

 

3. 젠더와 사회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CULTURE 핵심전공 2,3학년 2학기 임인숙 국강
국문요약 이 강의는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이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는 방식을 이해하는 한편, 젠더화된 문화가 여성과 남성의 삶에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한다. 둘째, 젠더를 근거로 구축된 사회적 불평등을 성 사회학적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여성들의 생활세계 경험에 주목하면서 성 불평등을 유지하고 강화해 온 사회제도와 문화를 비판적으로 관찰하고 논의한다. 셋째, 성별 권력관계의 변화를 둘러싼 갈등과 남성위기론의 역사, 실상, 확산 기제를 논의한다.
영문요약 The course examines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 in society, gendered nature of social structure and culture. The focus is on understanding how education, mass media, family and labor market operate together in constructing gender identities, bodies, and inequality. Students will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class discussions based on the required readings and observation of everyday lives.
강의자료 ·존 베이넌 2011. 『남성성과 문화』. 임인숙·김미영 역. 고려대출판부
·게일 혹스. 『섹슈얼리티와 사회』. 임인숙 역. 일신사.
·E. Schur. 1984. Labelling Women Deviant: Gender, Stigma, and Social Control . Random House.
선수 과목  
이수 후
권장과목
몸과 섹슈얼리티
문화 사회학
기대효과 현대사회에서 젠더 불평등의 구체적인 지점과 양상, 젠더정치학에 작동하는 주요 메카니즘에 관한 많은 연구들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현대 대중문화가 젠더 이미지를 재현하는 방식과 소비문화의 영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훈련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젠더연구나 문화산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과목이다.
최근 강의계획서
젠더 사회학 (Soc 1238) / 2015년 가을 학기
강의시간: 화/목 2교시, 서관 401.
담당 교수: 임인숙 (문과대학 515호, 3290-2082, lisook@korea.ac.kr )
 
강의 목표
첫째,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이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는 방식을 이해하는 한편, 젠더화된 문화가 여성과 남성의 삶에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한다. 둘째, 젠더를 근거로 구축된 사회적 불평등을 성 사회학적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여성들의 생활세계 경험에 주목하면서 성 불평등을 유지하고 강화해 온 사회제도와 문화를 비판적으로 관찰하고 논의한다. 셋째, 성별 권력관계의 변화를 둘러싼 갈등과 남성위기론의 역사, 실상, 확산 기제를 논의한다.
평가
1) 중간/기말 시험
2) 기말 연구논문(Research Paper)
3) 조별 연구 발표
50%
30%
20%
<강의 주제와 일정>
1주. 강의 개요

·기든스.『현대사회학』 5장 “젠더와 성성”(124-142)

2-3주. 젠더의 사회적 구성

·존 베이넌 2011. 『남성성과 문화』. 1-4장 임인숙·김미영 역. 고려대판부

4-5주. 젠더규범, 낙인과 일탈

·E. Schur. 1984. Labelling Women Deviant: Gender, Stigma, and Social Control . Random House.
- "Women's Deviance through Gender Norms" (51-65).

6-7주. 젠더관계의 변화와 갈등

·S. Cohen and M. Katzenstien. 1988. "The War over the Family is not over the Family". Feminism, Children and the New Families.
·임인숙. 1999. "미국학계의 가족변화 논쟁“ 『가족과 문화』제 11집 1호: 23-46.
·임인숙. 2006. “한국 언론의 부권상실론의 변화와 정치성” 『가족과 문화』 제 18집 4호: 65-92.
·K. Skold. 1988. "The State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Women and Men." Feminism, Children and the New Families.
·장혜경 외. 2011. 『가족의 미래와 여성가족정책 전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주 중간고사

9-10주. 성 문화

·게일 혹스. 『섹슈얼리티와 사회』. 임인숙 역. 일신사.
·Gill, 2012. "Media, Empowerment and the 'sexualization of culture' debates." Sex roles 66: 736-745.
·21 Century sexual culture (영상)

11주. 성폭력

"Rape is the problem"
·“성폭력 의미 구성과 여성의 차이”, ·“남성의 섹슈얼리티와 성 폭력” 『섹슈얼리티 강의』. 동녘.

12주. 경제적 자원과 젠더관계

·강이수. 2011. “남성부양자 가족의 균열과 지속: 변화 경로와 쟁점에 대한 고찰” 『가족과 문화』 23(4)
·안태현. 2010. “남성의 고용상황과 결혼형성”. 『노동정책연구』 제10권 제3호: 35-64.
·유홍준·현성민. 2010. “경제적 자원이 미혼남녀의 결혼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제3권: 75-101.
·박기남. 2009.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 양립을 위한 시간 갈등 연구: 연령계층별, 성역할 태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25(2): 37.

14주. 노동시장의 젠더 불평등

·신광영. 2011.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 차이와 차별.” 『한국사회학』 45(4): 97~127.
·『현대사회학』 12장 “여성과 노동” (351-366)
·Baxter, Janeen and Erik Olin Wright. 2000. "The glass ceiling hypothes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United States, Sweden, and Australia" Gender & Society 14: 275-294.
·이주희. 2004. “적극적 조치와 여성노동- 사회경제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 20권 3호. pp. 139-170.
·김영옥 외. 2011. 『2000년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와 미래전략』.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5주. 기말 연구보고서 발표

16주. 기말고사
4. 가족사회학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CULTURE 핵심전공 2,3 학년 2학기 안호용 국강
국문요약 사회집단 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집단인 가족을 연구하되, 가족구조, 사회화 및 가족과 사회의 관계에 중점을 둔다.
영문요약 An investigation into the family in terms of its size, composition, pattern, values, clan organization, role, and power structure.
강의자료 페이스 엘리엇, 󰡔가족사회학󰡕, 안병철·서동인 역, 을유문화사, 1993.
다이애너 기틴스, 󰡔가족은 없다󰡕, 안호용·김흥주·배선희 역, 일신사, 1997.
데이비드 모건, 󰡔가족의 탐구󰡕, 안호용 역, 이학사, 2012.
김혜경 외,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 다산출판사, 2014.
󰡔가족과 문화󰡕 (한국가족학회)
󰡔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05, 2010, 2015)
통계청, 인구·가주 관련 통계자료
선수과목  
이수 후
권장과목
젠더와 사회, 노년사회학, 생애과정의 사회학
기대효과 (1) 가족의 개념과 가족연구의 여러 관점을 이해한다.
(2) 가족유형의 변화와 가족가치관의 변화를 이해한다.
(3)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한국 가족의 문제를 논의한다.
최근 강의계획서
(1) 가족연구의 동향
(2) 가족의 개념
(3) 가족연구의 여러 관점
(4) 가족연구의 쟁점
(5) 현대가족의 발달
(6) 가족유형의 변화와 핵가족화
(7) 가족가치관의 변화
(8) 가족주의
(9) 가족 기능
(10) 가족 역할
(11) 권력관계
(12) 성과 결혼
(13) 이혼과 재혼
(14) 가족문제
(15) 가족정책
(16) 대안가족과 가족의 미래
5. 사회인류학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CULTURE 핵심전공 2,3 학년 1학기 안호용 국강
국문요약 사회인류학의 배경, 이론 및 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영문요약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ociety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강의자료 존 비티,󰡔사회인류학󰡕. 최재석 역, 일지사, 1977.
로버트 레이턴, 󰡔인류학이론 입문󰡕, 안호용 역, 일신사, 2006.
바버라 밀러, 󰡔글로벌시대의 문화인류학󰡕, 홍석준 외 역, 시그마프레스, 2013.
Human Relations Area Files (HRAF)
각종 민족지
이수 후
권장과목
질적연구방법, 문화사회학, 종교사회학, 국제이주와 다문화사회
기대효과 (1) 사회인류학의 연구방법과 기초지식의 습득
(2) 인류학의 방법과 지식을 활용하여 우리 주변의 사회문화적 현상 이해
(3) 사회인류학이론과 사회학이론의 연계적 이해
최근 강의계획서
(1) 강의소개: 사회학과 인류학
(2) 인류학의 분야 및 연구대상
(3) 현지조사 방법
(4) 기능적 설명과 신앙·가치의 이해
(5) 친족
(6) 혼인
(7) 한국의 친족과 혼인
(8) 경제제도
(9) 정치제도
(10) 법체계
(11) 주술
(12) 종교
(13) 사회변동
(14) 인류학 이론
6. 역사사회학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CULTURE 핵심전공 2,3학년 1학기 정일준 영강
국문요약 이 과목에서는 역사사회학의 주요 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고찰하고자 한다. 계보학적 접근을 통해 공간적으로는 방법론적 일국주의를 극복하고, 시간적으로는 시간물신주의와 현재 중심주의를 넘어서고자 한다. 역사사회학의 문제틀과 이론들을 소개한 후 한국을 중심으로 한 실제 근현대사를 다룬다.
영문요약 This course deals with premodern, modern / contemporary Korean history from comparative / historical perspective. Through genealogical approaches(系譜學的 接近) we will overcome ‘methodological nationalism’(方法論的 一國主義)) in space and transcend ‘chronofetishism’(時間物神主義) and ‘tempocentrism’(現在中心主義) in time. Those are typical forms of ahistorcism(沒歷史主義) and asociologism(沒社會學主義). After introducing problematique and theory of historical sociology, we will proceed to cover substantial histories centered on Korea. Students can understand the making/unmaking of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relations of South / North Korea on the one hand, and the constitution/transformation of Korean identity in global era on the other hand.
강의자료 * 기본 참고문헌
Abrams, Philip, Historical Sociology, Cornell University Press, 1982.
Hobson, John M., The Stat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 심화 참고문헌
Cumings, Bruce, Korea’s Place in the Sun, W. W. Norton & Company, 2005.
Cohen, Warren, East Asia at the Center,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
선수 과목  
이수 후
권장과목
한국사, 서양사, 동양사 분야에서 근현대사
기대효과 비교역사사회학적인 시각을 확보하여 동서양을 막론하고 세계사에 대한 안목을 기를 수 있다.
최근 강의계획서

SOC 1471. Historical Sociology: Focusing on Korea

Tuesday 7·8·9 (17:00~19:50) College of Liberal Arts Bl.
Office Hours: After the Class or by Appointment Instructor: Dr. Il Joon Chung
Office: # 106 B e-mail: ijchung@korea.ac.kr

Course Description

This course deals with premodern, modern / contemporary Korean history from comparative / historical perspective. Through genealogical approaches(系譜學的 接近) we will overcome ‘methodological nationalism’(方法論的 一國主義)) in space andtranscend ‘chronofetishism’(時間物神主義) and ‘tempocentrism’(現在中心主義) in time. Those are typical forms of ahistorcism(沒歷史主義) and asociologism(沒社會學主義). After introducing problematique and theory of historical sociology, we will proceed to cover substantial histories centered on Korea. Students can understand the making/unmaking of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relations of South / North Korea on the one hand, and the constitution/transformation of Korean identity in global era on the other hand.

Textbook / Course Materials

➀ Course Package
➁ Cumings, Bruce, Korea’s Place in the Sun, W. W. Norton / Company, 2005.

Grading Policy

Class Participation 10%
Midterm Exam 20%
Final Exam 30%
Final Term Paper 40%

Course Schedule / Reading Assignments

1st Week. Introduction : Historicity, Globality and Reflexivity

➀ Sewell Jr., William H., “Three Temporalities: Toward an Eventful Sociology” in Logics of History: Social Theory and Social Transform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pp. 81-123

2nd Week. What is Historical Sociology? (1)

➀ Abrams, Philip, “Introduction: Sociology as History,” in Historical Sociology, Cornell University Press, 1982, pp. 1~17.
_____________, “The Transition to Industrialism: Anomie,” pp. 18~32.

3rd Week. What is Historical Sociology? (2)

➀ Abrams, Philip, “The Transition to Industrialism: Class Formation and Class Struggle,” pp. 33~72.
_____________, “The Transition to Industrialism: Rationalisation,” pp. 73~107.

4th Week. What is Historical Sociology of International Relations? (1)

➀ Hobson, John M., “5. Constructivism,” pp. 145~173, in The Stat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5th Week. What is Historical Sociology of International Relations? (2)

➀ Hobson, John M., “6. Weberian historical sociology,” pp. 174~214.
➀ Hobson, John M., “7. Summarizing and resolving the second state debate,” pp. 217~235.

6th Week. International Relations of Korea before Modern Era

➁ “Chap. 1. The Virtues” pp. 19~85.

7th Week. Korea under International Pressure

➁ “Chap. 2. The Interests, 1869-1904” pp. 86~138.

8th Week. Midterm Examination

9th Week. Korean Resistance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➁ “Chap. 3. Eclipse, 1905~1945,” pp. 139~184.
0th Week. The Making of ROK-U. S. A Alliance, 1945-1948
➁ “Chap. 4. The Passions, 1945~1948,” pp. 185~236.

11th Week. The Cold War and the Korean War, 1948-1953

➁ “Chap. 5. Collision, 1948~1953,” pp. 237~298.

12th Week. The Transformations of South Korea I: Industrialization, 1953-1997

➁ “Chap. 6. Korean Sun Rising: Industrialization, 1953~Present,” pp. 299~341.

13th Week. The Transformations of South Korea II: Democratization, 1960-1987

➁ “Chap. 7. The Virtues, II: The Democratic Movement, 1960~Present,” pp. 342~403.

14th Week. North Korea (Final Term Paper Due)

➁ “Chap. 8. Nation of the Sun King: North Korea, 1953~Present,” pp. 404~447.
➁ “Chap. 10. “Korea’s Place in the World,” pp. 470~513.

15th Week. Final Examination

7. 대중문화론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언어
CULTURE 응용전공 3,4학년 1학기 국강
국문요약 이 과목의 주된 목표는 대중문화의 흐름에 대한 소개를 하고, 그러한 흐름을 문화의 사회경제적인 기반을 다룬 문화사회학적 시각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으로는 고전사회학자들의 이데올로기나 권력 같은 문화에 대한 개념과 이론뿐만 아니라 현대사회학자들의 문화자본, 비판이론 등 문화사회학적 시각을 소개한다. 아울러 대중문화를 소비자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과목의 특성상 수강생들이 스스로 대중문화 소비자라는 특징을 잘 이용할 것이다. 특히 앞부분에서 다룬 사회학적 개념과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생산되고 배포되는 대중문화를 읽고, 평가하고 종합하는 분석하는 능력을 키울 것이다.
영문요약 This course provides an introduction to critical issues and approaches in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with sociological perspectives. It is not based on cultural studies, but cultural sociology to stress the social and the economic backgrounds as the base of popular culture. For this purpose,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traditional as well as modern sociology, such as ideology, power, and cultural capital will be explored. In addition, we will explore the ways in which each of us accepts popular culture. This course will use your own expertise as consumers of popular culture. In addition, the main task of this course will be to refine further your ability to read, evaluate, and synthesize materials from theories of cultural sociology. Throughout, students will have opportunities to explore and evaluate ideas from class via independent social research.
강의자료 Danesi, Marcel (2015) Popular Culture: Introductory Perspectiv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Storey, J. (2009) Introductory Guide to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선수 과목 사회학의 이해
사회학적 상상력
이수 후
권장과목
영상사회학
문화사회학
기대효과 사회과학이라는 관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생산되고 배포되는 대중문화를 읽고, 평가하고 종합하는 능력을 키운다.
최근 강의계획서
일정 학 습 내 용
1 1-2 과목소개와 대중문화 소개
2 3-4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적 흐름
3 5-6 한국 대중문화의 현재 (1)
4 7-8 한국 대중문화의 현재 (2)
5 9-10 대중문화 이론 (1)
6 11-12 대중문화 이론 (2)
7 13-14 대중문화 생산자와 공급자
8 15-16 요약과 중간고사
9 17-18 대중문화 소비자
10 19-20 대중문화와 계급
11 21-22 대중문화와 세대
12 23-24 대중문화와 젠더
13 25-26 팬덤
14 27-28 뉴미디어와 사이버공간
15 29-30 대중문화와 세계화
16 31-32 요약과 기말고사

 

8. 영상사회학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언어
CULTURE 응용전공 3,4학년 1학기 영강
국문요약 영상사회학은 ‘시각사회학’으로 표현되고는 한다. 이는 이미지 등을 통해서 사회학적 주제에 대해서 알게끔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과목은 시각자료를 통해 사회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문요약 “Visual Sociology" often gets mistranslated as “film sociology” but should be properly expressed as “visual sociology” (시각사회학). This course is indeed “VIsual Sociology” in the sense that the production of photographic images is the central means of producing knowledge about social subjects, all within the context of ethnographic research.
강의자료 The course will first offer a theoretical overview of this burgeoning field through Douglas Harper’s textbook Visual Sociology and John J. Macionis’s textbook Sociology, along with other materials.
선수 과목  
이수 후
권장과목
 
기대효과  
최근 강의계획서
개요

"영상사회학" often gets mistranslated as "film sociology" but should be properly expressed as "visual sociology" (시각사회학). This course is indeed "Visual Sociology" in the sense that the production of photographic images is the central means of producing knowledge about social subjects, all within the context of ethnographic research.

학습목표

This course focuses on the new and evolving sub-specialty of sociology that relies on or uses visual data to make social analysis. The course considers photographs as visual texts that also act as social texts.

수업자료(교재)

The course will first offer a theoretical overview of this burgeoning field through Douglas Harper’s textbook Visual Sociology and John J. Macionis’s textbook Sociology, along with other materials.

과제물

The course will require students to utilise their eyes and also carry out projects that involve doing actual ethnographic research with subjects while utilising cameras. There will be an American-style midterm examination and a final project/paper.

Reading Checks: 25%
Participation: 10%
Midterm Examination: 25%
Final Project/Paper: 40%
9. 몸과 섹슈얼리티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POLITICS 응용전공 3,4학년 1학기 임인숙 국강
국문요약 이 강의는 몸이란 렌즈를 통해서 한국사회와 이 시대의 문화를 읽는데 초점을 맞춘다. 몸의 의미와 실천에 투영된 사회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 한편, 한국사회의 몸 프로젝트를 추동하는 사회문화적 기제들이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가부장제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성별화 되는 몸, 소비사회와 포스트모던 시대가 설득하는 조형적 몸, 신자유주의 시대의 자기책임론이 추동하는 몸 프로젝트 등의 주제를 분석한다.
영문요약 The course examines how culture affects the meanings and practices of body and sexuality in society. The focus is on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ed body and sexuality, and furthermore, its influences on gender inequality. Students will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class discussions based on the required readings and observation of everyday lives.
강의자료 ·쉴링.『몸의 사회학』. 2011(개정판). 임인숙 역. 나남출판.
·혹스.『섹슈얼리티와 사회』. 2005. 임인숙 역. 일신사.
·보르도. 『참을 수 없는 몸의 무거움』. 또 하나의 문화.
·J. Brumberg. The Body Project: An Intimate History of American Girls. 1997. Vintage.
·S. Dworkin and F.L. Wachs. 2009. Body Panic: Gender, Health, and the Selling of Fitness. New York Univ. Press.
·Lynn S. Chancer. “The Beauty Context” Looks, Social Theory, and Feminism
선수 과목 젠더와 사회
이수 후
권장과목
 
기대효과 현대사회와 문화 변동을 몸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주요 이론가들을 접할 수 있고 한국의 대중문화를 비판적으로 관찰하는 훈련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 및 미디어 분야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과목이다.
최근 강의계획서
2015년 1학기
강의: 월수 2-3교시, 서관 401호
담당 교수: 임인숙
연구실: 문과대 515
면담시간: 월/수 오후
연락처: 3290-2082
E-mail: lisook@korea.ac.kr
<강의 개요>

이 강의는 몸이란 렌즈를 통해서 한국사회와 이 시대의 문화를 읽는데 초점을 맞춘다. 몸의 의미와 실천에 투영된 사회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 한편, 한국사회의 몸 프로젝트를 추동하는 사회문화적 기제들이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가부장제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성별화 되는 몸, 소비사회와 포스트모던 시대가 설득하는 조형적 몸, 신자유주의 시대의 자기책임론이 추동하는 몸 프로젝트 등의 주제를 분석한다. 학생들은 강의 주제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 수업교재를 충실히 독해하고 한국의 일상문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수업 자료>

·쉴링.『몸의 사회학』. 2011(개정판). 임인숙 역. 나남출판.
·혹스.『섹슈얼리티와 사회』. 2005. 임인숙 역. 일신사.
·보르도. 『참을 수 없는 몸의 무거움』. 또 하나의 문화.

·주제 관련 논문 (EKU 탑재)

·S. Bordo. Unbearable Weight: Feminism, western culture and the body. 1993. Uni. of California Press. (역서: 참을 수 없는 몸의 무거움. 또 하나의 문화)
·J. Brumberg. The Body Project: An Intimate History of American Girls. 1997. Vintage.
·S. Dworkin and F.L. Wachs. 2009. Body Panic: Gender, Health, and the Selling of Fitness. New York Univ. Press.
·Lynn S. Chancer. “The Beauty Context” Looks, Social Theory, and Feminism
·네틀턴.『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1997. 조효제 역. 한울아카데미.

<평가>

·중간시험 및 요약 2회 30% + 10%
·팀 프로젝트 10%
·기말시험 30%
·기말 페이퍼 (연구계획/ 선행연구/ 분석/ 요약 및 논의로 구성) 20%

<강의 진도>
주제 교재 기타
1 몸의 사회학 소개 ·쉴링 1장 ‘들어가는 글’  
2 몸과 사회 ·쉴링 2장 ‘몸의 사회학적 지위’
3장 ‘자연주의적 관점’
4장 ‘사회적으로 구성된 몸’
 
3 - 4 성별화된 몸 (gendered body) ·쉴링 5장 ‘몸과 사회적 불평등’
·보르도, ‘몸과 여성성의 재생산’
·유방암, 여성성의 위기감
·『마돈나의 이중적 의미』 2장
·네틀턴 ‘여성의 몸에 대한 지각과 가정’
p.207-230 p.165-174
5 - 6 육체사회화와 몸관리산업 ·Brumberg, 3장 Skin
4장 Body Project
*요약과제 p.97-138
7 소비사회의 신남성(New men) 만들기 ·Stylish hard bodies
·남성의 외모관리 허용수위와 불안지대
·Commercialization of Atypical Male Images in Korea
·『하드바디』(Hard Bodies)
EKU 참고
8 중간고사 Take-Home Exam  
9 - 10 육체자본과 외모차별 ·쉴링 6장 몸과 육체자본
·외모와 신장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시장에서의 신장 프리미엄
·여성취업과 용모차별
·한국대중가요의 외모차별주의
·외모중심적 인재채용 개선을 위한 연구
·American workplace: Ethical issues and analysis
·Personal Responsibility And Obesity
EKU
11 몸의 통치 ·신자유주의와 건강주의(Healthism) 관련 논문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for health
·The invisibility of public health
·Public Health under Attack
·Gori 4장 Sports medicine and female athleticism under the Fascist regime
*요약과제 EKU 참고
12 탈근대성과 조형적 몸 ·보르도,
- ‘물질적인 여자’
- ‘포스트모던 주체, 포스트모던 몸,
포스트모던 저항’
p.301-364
13 - 14 육체변형 프로젝트와 위험 ·한국사회의 몸 프로젝트
·미용성형사회의 위험과 국민건강권
·보르도, ‘날씬한 몸 읽기’
EKU p.231-264
15 의료화와 항노화 프로젝트 ·Forever Young?
·A Feminist perspective on Anti-aging medicine
·The Selling of HRT: Playing on the Fear Factor
EKU

 

10. 국제지역 사회연구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언어
CULTURE 응용전공 3,4학년 2학기 국강
국문요약 지구화(globalization)의 진행에 따라 지구상 다양한 사회들 간 상호 연관성과 의존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학에서도 개별 사회에 대한 분석을 지구적 맥락에서 하려는 시도들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사회학에서 주요 분야로 부상하고 있는 ‘글로벌 사회학’(global sociology)은 개별 사회 차원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사회 구조와 체계, 현상들이 지구적 차원의 그것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점을 전제로 여러 층위의 사회들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는 사회학적 시도이다. ‘국제지역사회연구’는 ‘글로벌 사회학’의 다양한 이론과 방법을 토대로 개별 사회에 대한 연구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오늘날 지구적 차원의 주요 흐름과 변화를 글로벌 사회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것이 각 지역 사회의 변화와 어떻게 연관돼 있는지에 대한 사회학적 능력의 기초를 다지고자 한다. 이 강의에서는 글로벌 사회학의 개념과 분석틀, 관심사항, 논쟁점 등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지구적 흐름과 변화에 대한 한국 사회의 대응과 변화, 그리고 이것이 우리 삶에 끼치는 영향 등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나아가 지구적, 한국적 차원의 바람직한 사회 변화의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본다.
영문요약  
강의자료 * Ÿ 로빈 코헨·폴 케네디. 2007. 『글로벌 사회학』. 박지선 옮김. 인간사랑.
Ÿ 박길성. 2003. 『한국사회의 재구조화: 강요된 조정, 갈등적 조율』. 고려대학교 출판부.
선수과목  
이수 후
권장과목
 
기대효과  
최근 강의계획서


국제지역사회연구(SOCI 482) 강의안

2015년 2학기
일시 및 장소
화, 목 6교시(오후 3:30 ~ 4:45)
서관 215호
강사
김종태(사회학 박사, 아연 연구교수)
연구실: 아연 203호
전자우편: jtkim0903@daum.net

강의 개요

지구화(globalization)의 진행에 따라 지구상 다양한 사회들 간 상호 연관성과 의존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학에서도 개별 사회에 대한 분석을 지구적 맥락에서 하려는 시도들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사회학에서 주요 분야로 부상하고 있는 ‘글로벌 사회학’(global sociology)은 개별 사회 차원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사회 구조와 체계, 현상들이 지구적 차원의 그것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점을 전제로 여러 층위의 사회들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는 사회학적 시도이다. ‘국제지역사회연구’는 ‘글로벌 사회학’의 다양한 이론과 방법을 토대로 개별 사회에 대한 연구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오늘날 지구적 차원의 주요 흐름과 변화를 글로벌 사회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것이 각 지역 사회의 변화와 어떻게 연관돼 있는지에 대한 사회학적 능력의 기초를 다지고자 한다. 이 강의에서는 글로벌 사회학의 개념과 분석틀, 관심사항, 논쟁점 등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지구적 흐름과 변화에 대한 한국 사회의 대응과 변화, 그리고 이것이 우리 삶에 끼치는 영향 등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나아가 지구적, 한국적 차원의 바람직한 사회 변화의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본다.

교재

Ÿ 로빈 코헨·폴 케네디. 2007. 『글로벌 사회학』. 박지선 옮김. 인간사랑.
Ÿ 박길성. 2003. 『한국사회의 재구조화: 강요된 조정, 갈등적 조율』. 고려대학교 출판부.

조별 토론

한 주의 강의는 기본적으로 화요일 강의와 목요일 토론으로 구성된다. 화요일 강의는 강사가 진행하며, 목요일 토론은 수강생들의 조별 토론에 이은 전체 토론으로 이뤄진다. 각 수강생은 자기가 속한 토론 조에서 창의적, 비판적 시각과 적극적인 자세로 토론에 참여한다. 조별 토론은 특정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자유롭고 진지하게 의견을 교환하는 시간이다. 토론 참가자들의 의견에 맞고 틀리는 것은 없으며, 주제에 관련된 어떤 의견이라도 존중된다. 매 토론에서는 각 조마다 토론 주도자가 있으며, 각 수강생은 학기 중 최소한 한 번 이상 토론 주도자를 한다. 토론 주도자는 조별 토론을 효과적으로 이끌며, 수업이 끝나기 전에 조별 토론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을 전체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발표한다. 또 수업 이후에는 그 날 자정까지 자신의 조에서 토론한 주요 내용들을 요약한 보고서를 코스 누리집(블랙보드)에 올린다.

읽기과제 보고서

매 수업의 읽기과제 보고서를 강의 누리집의 ‘학생자료실’에 월요일 오후 9시까지 올린다(늦은 제출은 인정하지 않음). 보고서 분량은 1200자 정도(공백 제외)이며, 누리집에 직접 쳐서 제출한다(첨부파일은 인정하지 않음). 보고서는 읽기 자료에 대한 단순한 요약이 아니라, 자신의 의견과 의문점, 토론사항 등이 포함된 ‘비판적 논평’이어야 한다. 무성의하거나 남의 것을 표절하는 등 ‘함량 미달’의 보고서가 한 번이라도 발견되면 읽기과제 보고서 전체 점수를 0점 처리한다. 기말 보고서 각 조의 구성원들은 글로벌 사회학 또는 국제지역사회 연구와 관련한 주제 하나를 골라 공동연구를 하고 학기 말에 그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보고서는 조별로 평가되며, 한 조의 구성원들은 같은 점수를 받게 된다. 보고서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학기 중에 제공할 예정임.

시험

- 중간시험은 조별 공동연구 계획 보고서 제출로 대체한다.
- 기말 시험은 학기 중 논의한 주요 내용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출제된다.

평가

- 토론 참가 및 발표: 10%
- 읽기 과제 보고서: 20%
- 기말 보고서: 20%
- 기말 시험: 50%
학점 부여 점수 기준은 다음과 같다(상대평가 무시할 경우): 90점 이상 = A; 80-89 = B; 70-79 = C; 60-69 = D; below 59 = F. 강사의 판단에 따라 학점에 + / -를 부여할 수 있다.

일정

1주차

강의 소개

2주차

9/8: 지구화의 개념과 현상
읽기 과제: 글로벌 사회학. 제2장 “글로벌적으로 생각하기.”
9/10: 조별 토론

3주차

9/15: 근대성과 지구적 변화
읽기 과제: 글로벌 사회학. 제3장 “모더니티와 세계 사회의 진화.”
9/17: 조별 토론

4주차

9/22: 지구적 자본 축적과 재생산
읽기 과제: 글로벌 사회학. 제4장 “변화하는 노동의 세계.”
9/24: 조별 토론

5주차

9/29: 한가위 대체공휴일
10/1: 지구화와 국민국가
읽기 과제: 글로벌 사회학. 제5장 “국민의식과 국민국가.”

6주차

10/6: 지구적 경제 권력의 변화
읽기 과제: 글로벌 사회학. 제7장. “기업권력과 사회적 책임.”
10/8: 조별 토론

7주차

10/13: 지구화와 양극화
읽기 과제: 글로벌 사회학. 제8장. “불균등 발전: 그 희생자.”
10/15: 조별 토론

8주차(중간시험 기간)

10/22: 조별 연구 주제 및 계획 제출(강의 누리집)

9주차

10/27: 지구화와 문화 변화
Ÿ 읽기 과제: 글로벌 사회학. 제14장. “미디어와 정보화 시대.”
10/29: 조별 토론

10주차

11/3: 지구화와 시민사회
Ÿ 읽기 과제: 글로벌 사회학. 제18장. “글로벌 시민사회.”
11/5: 조별 토론

11주차

11/10: 지구화와 한국의 대응
Ÿ 읽기 과제: 박길성. 2003. 『한국사회의 재구조화: 강요된 조정, 갈등적 조율』. “제5장
한국의 세계화: 굴절과 동형화의 10년.” 127-151쪽.
11/12: 조별 토론

12주차

11/17: 지구화와 한국 외환위기
Ÿ 읽기 과제: 박길성. 2003. 『한국사회의 재구조화: 강요된 조정, 갈등적 조율』. “제6장
외환위기의 사회적 비용: 정체성, 사회갈등, 신뢰구조.” 153-180쪽.
11/19: 조별 토론

13주차

12/15: 기말시험, 기말보고서 제출

14주차

12/1: 조별 공동연구 발표
12/3: 조별 공동연구 발표

15주차

12/8: 조별 공동연구 발표
11/24: 한국 사회가 나아갈 길
Ÿ 읽기 과제: 박길성. 2003. 『한국사회의 재구조화: 강요된 조정, 갈등적 조율』. “제9장
무엇을 할 것인가.” 237-261쪽.
11/26: 조별 토론

16주차

12/15: 기말시험, 기말보고서 제출

11. 국제이주와 다문화사회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CULTURE 응용전공 3,4학년 1학기 윤인진 국강
국문요약 국제이주는 사회의 인종 및 문화다양성을 증대하여 새로운 방식의 사회통합을 요구한다. 본 과목에서는 첫째, 국제이주와 다문화사회의 주요 이론들과 개념들을 이해하고, 둘째, 서구 및 아시아의 사례를 검토하고, 셋째, 한국의 현황을 조사하고 한국적 이민자 사회통합과 다문화주의 모델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요약 International migration increases racial and cultural diversity of a society and requires a new form of social integration. This course covers a review of major theories, concepts, and literature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multiculturalism in Western, Asian, and Korean societies.
강의자료 * 기본 참고문헌: 수업이해를 위한 필수 문헌(권장도서 등)
이혜경 외. 2016. 『이민정책론』. 박영사.
윤인진. 2013.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한울.
* 심화 참고문헌 및 최근 연구동향
스티븐 카슬·마크 밀러. (한국이민학회 옮김). 2013. 『이주의 시대』. 일조각.
이수 후
권장과목
인구와 도시
기대효과 * 이주와 다문화사회 관련 현상에 대한 전문지식을 알게 됨
* 이민정책 전문가 및 공무원으로 성장할 수 있음
* 이주민 및 소수자 사회복지 및 교육 전문가, 다문화 관련 산업의 마케팅 전문가, 시민활동가로 성장할 수 있음
최근 강의계획서
학수번호 : SOCI478
면담시간 : 월/수/목/금 2시~4시(예약면담 가능)
전화번호 : 3290-2490, 010-6324-2490
교수 : 윤인진
연구실 : 아세아문제연구소 205호
E-mail : yoonin@korea.ac.kr
강의 개요

국가 간 인구이동이 일상화, 보편화되어 세계는 ‘이주의 시대’를 맞고 있다. 이주민들은 이민, 노동, 망명, 결혼, 유학, 방문 등 다양한 목적으로 모국을 떠나 다른 나라에 살면서 모국과 거주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주민들은 거주국의 사회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지만 동시에 경제적 부담이 되고 기존 사회문화 질서를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이주민들이 사회의 생산적이고 책임 있는 구성원들이 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거주국의 중요한 과제이다. 동시에 인종, 종족, 문화적으로 다원화된 사회에서 선주민과 이주민이 서로를 인정하고 공존하는 지혜와 능력이 필요하다. 다문화주의는 문화다양성을 인정하고 그 가운데 사회통합을 이루고자 하는 사회이념과 정책이지만 이를 둘러싸고 찬반 의견이 대립하는 논쟁적인 개념이다. 본 과목에서는 첫째,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의 주요 이론들과 개념들을 이해하고, 둘째, 서구 및 아시아의 사례를 검토하고, 셋째, 한국의 현황을 조사하고 한국적 이민자 사회통합과 다문화주의 모델을 모색하고자 한다. 주된 주제는 국제이주, 이민자 사회적응과 사회통합 실태, 다문화주의 이론과 현황, 다문화주의 인식과 수용성, 다문화교육, 이민정책과 다문화주의 정책 등이다.
강의 관련 자료는 학교 EKU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에 등재되어 있다. 교과서와 참고문헌은 개학 후 업데이트 될 예정이다.

교과서

·윤인진. 2013.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한울.
스티븐 카슬·마크 밀러. (한국이민학회 옮김). 2013. 『이주의 시대』. 일조각.

참고서

이혜경·설동훈·한건수. 2014. 『이주와 다문화사회』.

과제‧기타

·학점은 중간고사 (35%), 기말고사 (35%), 기말리포트 (20%), 출석 (10%)에 의해서 결정됨.

<학습진도>

1주(3.3~5) 교과소개 및 과제물 설명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1~2장.

2주(3.10~12) 국제이주 이론

『이주의 시대』. 1~3장.

3주(3.17~19) 세계의 국제이주: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로의 이주

『이주의 시대』. 4~5장.

4주(3.24~26) 세계의 국제이주: 아시아-태평양지역으로의 이주

『이주의 시대』. 6장.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3~5장.

5주(3.31~4.2) 세계의 국제이주: 아프리카, 중동, 라틴 아메리카로의 이주

『이주의 시대』. 7장.

6주(4.7~4.9) 이주의 통제

『이주의 시대』. 8장.

7주(4.14~4.16) 새로운 종족적 소수자

『이주의 시대』. 10~11장.

8주(4.21~23) 중간고사 휴강

9주(4.28~30) 이주민과 정치

『이주의 시대』. 12장.

10주(5.5~7) 21세기의 이주와 이동성

『이주의 시대』. 13장.

11주(5.12~14) 다문화주의 이론

12주(5.19~21) 서구의 이민자통합과 다문화주의 실태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2장,

13주(5.26~28) 한국의 이민자통합과 다문화주의 실태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3장,

14주(5.26~28) 일본과 대만의 이민자통합과 다문화주의 실태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4~5장,

15주(6.2~4) 다문화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윤인진·송영호. 2010.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인식과 다문화수용성." (EKU에 등록)

16주(6.9~11) 다문화교육

윤인진. 2009. “한국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4: 65-88. (EKU에 등록)
오성배. 2010. “다문화 교육 정책의 과제와 방향 탐색.” 『교육사상연구』 24(2): 149-170. (EKU에 등록)
이민경. 2008.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8(2): 83-104. (EKU에 등록)

17주(6.16~18) 기말고사
12. 비교사회학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언어
CULTURE 응용전공 3,4학년 1학기 국강
국문요약 비교사회학은 두 개 이상의 사회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개별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거나 이들 사회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규칙을 발견하려는 사회학적 시도이다. 이 강의는 비교사회학의 이론과 방법을 개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와 세계를 해석하는 사회학적 안목을 넓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강의에서는 근대 이후 서구가 주도하는 세계 질서 속에서 나타난 서구중심적 사회 비교 경향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영문요약 Comparative Sociology refers to a sociological attempt whose methodology focuses on the comparison of more than two societies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a certain society or to find out general rules applicable to those societies. This course aims to overview the theories and methodologies of comparative sociology and, based on this, foster the comparative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and the world. This course employs a critical approach to Eurocentric tendency in comparative sociology that has appeared since the rise of the West in the modern world. Based on this, it seeks to a way for comparative sociology to contribute to an equal, peaceful non-Eurocentric world that is promoted in the tendency of ‘multipolarity’ in the current 21st century globalization.
강의자료 * 기본 참고문헌:
김용학·임현진. 2000. 『비교사회학: 쟁점, 방법 및 실제』. 서울: 나남출판.
선수과목 사회학방법론
이수 후
권장과목
국제지역사회연구
기대효과 세계의 다양한 사회를 비교·분석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향상하고 이를 통해 초국가적 안목과 통찰력을 기를 수 있음. 특히 국제 분야에 관한 지식과 직업을 갖고자 하는 학생에게 유익한 강좌.
최근 강의계획서

비교사회학 강의안

2016년 1학기

 

일시 및 장소

목요일 낮 12:00 ~ 3:15
구법학관 B102호

강사

김종태(사회학 박사, 아연 HK연구교수)
연구실: 아연 203호
전자우편: jtkim0903@daum.net

교재

이 강의의 교재는 많은 영어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모든 필수 교재는 ‘블랙보드’의 강의 누리집(‘강의자료’)에 있음.

강의 소개

비교사회학은 두 개 이상의 사회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개별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거나 이들 사회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규칙을 발견하려는 사회학적 시도이다. 이 강의는 비교사회학의 이론과 방법을 개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와 세계를 해석하는 사회학적 안목을 넓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강의에서는 근대 이후 서구가 주도하는 세계 질서 속에서 나타난 서구중심적 사회 비교 경향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서구 패권의 쇠퇴 이후 ‘다극화’로 표현되는 21세기 지구화 경향 속에서 보다 평등하고 평화로운 탈서구중심적 세계 질서를 위한 비교사회학적 자세를 모색해 본다.

조별 토론 및 발표

하루치 강의는 기본적으로 그 날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각 조별로 진행하는 토론과 발표로 이뤄진다.
● 각 수강생은 자기가 속한 조에서 창의적, 비판적 시각과 적극적인 자세로 발표 및 토론에 참여한다.
● 조별 토론은 특정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자유롭고 진지하게 의견을 교환하는 시간이다. 토론 참가자들의 의견에 맞고 틀리는 것은 없으며, 주제에 관련된 어떤 의견이라도 존중된다.

시험

중간시험 및 기말시험을 실시한다.

평가

● 토론 참가 및 발표: 10%
● 읽기 과제 보고서: 20%
● 중간시험: 30%
● 기말 시험: 40%

학점 부여 점수 기준은 다음과 같다: 90점 이상 = A; 80-89 = B; 70-79 = C; 60-69 = D; below 59 = F. 강사의 판단에 따라 학점에 + / -를 부여할 수 있다
13. 종교사회학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언어
CULTURE 응용전공 3,4학년 2학기 국강
국문요약 이 강의는 종교의 일반적 성격과 기능을 이해하고,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역할과 종교변용 현상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사회와 종교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 강의는 다음 두 가지를 기본 목표로 삼는다. 첫째, 사회현상으로서 종교가 갖는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종교사회학의 이론적 성과를 검토한다. 둘째, 현대사회와 종교문화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종교현상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영문요약 This course is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function of religion in general, and by considering the role of religion and religious transformation phenomena in modern societ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modern society. The primary goal of this course is as follows: First, understand the meaning and function of religion as a social phenomenon and examine the theoretical achievements of sociology of religion. Second, by multilateral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society and religious culture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and social phenomenon.
강의자료 <종교사회학의 이해>(이원규, 2015, 나남)
<21세기 종교사회학>(김성건 외, 2013, 다산출판사)
<한국의 종교운동>(노길명, 2005, 고려대출판부)
선수 과목  
이수 후
권장과목
 
기대효과 이 강의는 사회의 문화적, 규범적 토대를 제공하는 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를 통해 사회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고, 사회통합의 대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최근 강의계획서
강의주제 및 내용 준비 사항
1 교과목 및 교재 소개/종교의 사회학적 의미 '내가생각하는종교'에 대한 발표
이원규 제2장
김성건 외 제1장
2 종교의 사회적 기능 이원규 제6장
3 초기 사회학자들의 종교이론(1): 맑스, 뒤르켐 김성건 외 제2장
이원규 제3장, 제4장
4 초기 사회학자들의 종교이론(2): 베버 김성건 외 제2장
이원규 제5장
5 현대 종교사회학 이론(1): 세속화론 김성건 외 제3장
이원규 제6장
6 현대 종교사회학 이론(2): 합리적 선택이론 김성건 외 제4장
7 종교와 정치 김성건 외 5장
이원규 제13장
8 중간고사  
9 종교와 사회계층 이원규 제12장
10 종교와 대중문화 김성건 외 제6장
11 종교와 여성 강의시간에 배포
12 종교와 세계화 김성건 외 제9장
13 영성사회학 김성건 외 제8장
14 인터넷과 종교 김성건 외 제7장
15 한국사회의 종교지형 김성건 외 제10장
16 기말고사  

 

14. 젠더, 국가와 정책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언어
CULTURE 응용전공 2,3학년 2 학기 영강
국문요약 젠더 및 여성정책의 흐름을 현대 국가의 역사적 흐름과 거버넌스 구조에 기반하여 폭넓게 이해하며, 이를 분석하는 사회학의 시각과 방법을 익힌다. 성별분업과 노동정책, 복지국가와 불평등 문제, 저출산과 가족 및 돌봄 정책, 돌봄과 민주주의, 여성대표성, 소수자 권리와 차별시정 정책, 성주류화 정책 등 젠더와 관련된 분야별 정책의 흐름과 쟁점을 이해한다. 또한 학생들이 한국사회의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기본소득, 연금개혁, 보육정책 등의 핵심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젠더 시각에서 분석하며, 향후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시민적 소양을 익힐 수 있도록 활발한 토론을 운영한다.
영문요약 This course will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gender, state, and policy from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Gender is arguably the most salient characteristic determining one's place in any society. We will discuss how gender relations influence the nature of policy and citizenship, and how opportunities and institutions in our society are organized via typically ‘gendered’ processes. You will learn central gender issues in public policy including gender and welfare, public care, work-life balance, gender gap, gender inequality in labor market, and also various emerging policy disputes in Korea. Students are expected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 through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강의자료 - 심영희 외, 2006, <한국의 젠더정치와 여성정책>, 나남출판.
- 이재경 외, 2009, <국가와 젠더 – 성주류화의 이론과 실천>, 한울.
- 요스타 에스핑-안데르센, 2014, <끝나지 않은 혁명 : 성역할의 혁명, 고령화에 대응하는 복지국가의 도전>, 나눔의 집.
- 조안 C. 트론토/ 김희강 나상원 옮김, 2015, <돌봄 민주주의>, 아포리아.
선수과목 없음
이수 후
권장과목
없음
기대효과 ◾ 사회학 이론 및 개념에 기반한 국가의 정책 결정과정과 거버넌스 이해
◾ 젠더구조와 현대국가의 연관성에 대한 이론적 이해
◾ 분야별 젠더 정책의 현안과 쟁점을 이해하고 토론에 참여하는 시민적 역량 형성
최근 강의계획서

<주별 학습 내용>

제 1 주 (3/6, 8) 도입 : 젠더와 국가 – 이론적 시각
◾ 강의 구성 소개, 젠더구조와 국가 거버넌스에 관한 이론적 시각
◾ 참고문헌
- 이재경 이은아, 2009, “글로벌 사회의 국가와 젠더”, <국가와 젠더 – 성주류화의 이론과 실천>, 한울.
- 원숙연, 2003, “젠더와 국가정책의 역학 : 젠더-정책레짐 정립을 위한 이론적 탐색”, <한국행정학보>.
- 이혜경, 2006, “성통합적 사회복지정책: 탈가부장적 다원주의적 ‘사회투자’ 모형을 향하여”, <한국의 젠더정치와 여성정책>, 나남출판

제 2 주 (3/13, 15) 여성과 국가정책 – 역사적 배경
◾ 복지국가 및 후발국가의 역사적 경험과 한국 여성정책의 전개과정
◾ 참고문헌
- 황정미, 2001, “여성정책과 젠더정치 – 복지국가 및 후발국가의 사례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 황정미, 2005, “한국 여성정책의 형성과정과 1990년대 여성정책의 의의”, 권태환 외, <한국 여성정책의 쟁점과 전망“, 함께읽는 책.
- 김경희, 2006, “1990년대 정부와 여성운동의 여성정책 프레임 분석”, <한국의 젠더정치와 여성정책>, 나남출판.

제 3 주 (3/20, 22) 성별분업과 여성노동 정책
◾ 성별분업과 노동시장 구조, 노동시장 구조변동과 젠더 불평등
◾ 학생 발표 및 토론 : 노동시장의 젠더 불평등과 여성노동 관련 정책
◾ 참고문헌
- 김영미, 2015, “분절 노동시장에서의 젠더불평등의 복합성 –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나타나는 여성차별의 차이”, <경제와 사회> 106호.
- 김영순, 2010,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사회권을 통해 본 한국의 젠더체제”, <사회보장연구> 26권 1호.
- 이주희, 2009, “성주류화와 고용정책: 유럽의 경험을 중심으로”, <국가와 젠더 – 성주류화의 이론과 실천>, 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