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행정학과

QUICK MENU
  • 로그인
  • 사이트맵
  • English

안내(구버전)

POLITICS: 정치, 불평등, 시민운동, 정책, 법, 범죄

1. 정치사회학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POLITICS 핵심전공 2,3 학년 2학기 조대엽 국강
국문요약 하나의 전체로서의 사회를 정치적으로(권력관계의 구조와 동학에 주목함) 파악함을 목표로 하는 정치사회학은 좁은 의미의 정치와 권력, 국가론에서 벗어나 계급, 젠더, 민족 종족성, 직업 나이 등에 영향 받은 차이 나는 집단화와 그들 간의 사회운동을 경유한 관계, 그리고 그것의 국가와의 상호연관을 설명하기 위해 확장된 정치 개념을 요청한다. 강의 전반부에서는 마르크스주의 국가론, 다원주의와 엘리트론, 하버마스와 푸코, 루만과 바우만의 정치이론을 개관하고 후반부에는 현대정치의 주요 이슈로서 신자유주의 통치술, 전쟁과 테러, 젠더와 정체성정치학, 대중문화와 정치의례 등을 이론과 실제의 면에서 파악한다.
영문요약 Political sociology is to explain society as a whole in term of power relations and social movement. It presupposes extended concept of politics which emphases various grouping with social class, gender, ethnicity, age, and multiple relationships with civil society and state. First half of the class, we study canonical political theory such as marxist state theory, pluralism and elite theory, Habermas(discourse ethics and democracy), Foucault(governmentality and neo- liberalism), Luhmann(system theory) and Bauman(modernism and holocaust). And we discuss main themes and issues such as war and terrorism, gender politics, identity politics, mass culture and political ritual. In doing so,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dynamics of high modern society and cultivate citizen virtue especially with respect to democracy and peace.
강의자료 크리스토퍼 피어슨, 『근대국가의 이해』 , 박형신 이택면 역, 일신사, 1997.
게오르게 쿠르베리타스, 『정치사회학』, 일신사.
윌 킴리커,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장동진 역, 동명사, 2005.
Kate Nash and Alan Scott, 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2004.
크리스 하먼, 알렉스 캘리니코스 외 저, 『자본주의 국가- 마르크스주의의 관점』, 최일붕 편저, 책갈피, 2015.
루크 구드, 『민주주의와 공론장- 위르겐 하버마스』, 조항제 역, 컬러북, 2015.
울리히 브뢰클링, 『기업가적 자아- 주체화 형식의 사회학』, 김주호 역, 한울, 2014.
지그문트 바우만, 『현대성과 홀로코스트』, 새물결, 2013.
찰스 틸리, 『위기의 민주주의』, 이승협 이주영 역, 전략과 문화, 2010.
진 L 코헨& 앤드루 아라토, 『시민사회와 정치이론』, 한길사, 2013.
선수과목  
이수 후
권장과목
 
기대효과 고전적인 정치학 뿐 아니라 폭넓게 확장된 현대 사회정치사상에 대해 개관할 수 있는 유리한 과목이다. 따라서 ‘직업으로서의 정치’를 염두에 두는 이들- 정치가와 관료, 대조직의 성원 등- 에게뿐 아니라 현대사회의 구조와 변화를 이해해야만 하는 직업군에게 필요한 기본 개념과 사상을 학습시키는 효과가 있다.
최근 강의계획서

정치사회학 (SOC465-00)

2015년도 제 1 학기
담당교수: 조 대 엽
연구실: 서관514 (Tel: 3290-2080)

□□□ 강의개요 □□□

근대 사회구성체에서 ‘정치’의 중심은 국가영역에 있었고 ‘국가’ 영역의 정치질서는 제도정치의 구심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장화, 민주화, 지구화 등으로 요약되는 20세기 말의 거대전환의 사회변동은 기존의 질서를 재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동은 근대 사회구성의 질서 내에서 정치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의 구분을 더욱 어렵게 함으로써 정치의 사회화 혹은 문화화경향과 사회문화적인 것의 정치화현상을 가속시키고 있다. 최근 정치사회학의 주요쟁점 역시 이러한 경향에 따라 크게 재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이 강의는 최근의 사회변동을 반영한 정치사회학의 주요쟁점들을 다루고자 한다.

강의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제로 구성된다.

첫째, 권력과 정치에 관한 사회학적 시각을 전통적 관점에서 최근의 탈근대적 시각까지를 개괄한다. 둘째, 근대사회구성의 주요 질서인 국가·시장·시민사회의 관계와 각 영역에 내재된 공공성의 요소, 그리고 그러한 공공성이 최근의 사회변동과정에서 재구성되는 경향을 학습한다. 셋째, 최근에 정치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의 재구성경향을 통해 부각되는 주요 쟁점들 -정당, 미디어, 아이덴티티, 시민권 - 에 관해 학습한다. 넷째, 정치적 전환의 주요 쟁점 - 민주화, 공공성의 재구성, 지구화 등 -을 학습한다. 각각의 주요쟁점에 관해서는 이론적 논의뿐만 아니라 한국의 사례도 충분히 다루게 될 것이다. 특히 중간고사 이후의 주제들은 한국의 정치사회에 관한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와 토론을 구성한다.

□□□ 강의방식 □□□

중간고사까지는 주로 이론적 내용으로 강의를 중심으로 진행하며, 중간고사 이후는 각각의 주제별로 조별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한다(조별 발표준비를 위해 T.A.와 함께 워크숍 가짐).

□□□ 강의평가 □□□

1) 수업참여도
2) 발표 및 토론참여도
3)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평가
4) 기말 보고서: 팀별 발표내용을 기초로 연관된 개별주제를 택하여 완성된 보고서로 작성 제출.

□□□ 강의내용 및 일정 □□□

제 1 주 강의소개 및 개괄: 정치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그리고 전환

제 1 주제: 권력과 정치에 관한 사회학적 시각

제 2 주 정치사회학의 영역과 대상

ISSUES) 정치사회학의 연구동향

READINGS)

1) 조대엽. 2014. “정치사회ㆍ사회운동 연구의 동향과 전망: 정치사회학 연구의 위기진단과 ‘신규범주의’ 정치사회학의 전망.” 『한국사회』15집 1호
2) 대한민국 학술원. 2008. 『한국의 학술연구 - 정치학․사회학』인문사회과학 편 제 9집 “VIII. 정치․사회운동 및 시민사회연구의 동향.”
2) Scott, John. 2004. "Studying Power." Kate Nash & Alan Scott(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MA: Malden, Blackwell Publishing .82-91.

제 3주 권력과 정치에 관한 사회학적 시각(1): 다원주의와 엘리트주의 정치사회

ISSUES) 다원주의 정치사회학/ 엘리트주의 정치사회학

READINGS)

1) Bellamy, Richard. 2004. "Development in Pluralist and Elite Approaches." Kate Nash & Alan Scott(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MA: Malden, Blackwell Publishing. 17-28.
2) 크리스토퍼 피어슨(Christopher Pierson)(박형신, 이택면 역). 1998. 『근대 국가의 이해』. 일신사. “제 3장 국가와 사회” 99-189
3) 게오르게 A. 쿠르베타리스(George Andrew Kourvetaris)(박형신, 정헌주 역). 1998. 『정치사회학』. 일신사. “제 1장 정치사회학의 주요모델” . 32-72 .
4) 진덕규. 1995. 󰡔현대정치사회학이론󰡕 . 삼영사. “제 5장 현대국가이론의 전개” pp.291-412.

제 4 주 권력과 정치에 관한 사회학적 시각(2): 맑스주의와 탈근대 정치사회학

ISSUES) 맑스주의 정치사회학/ 탈근대 정치사회학

READINGS)

1) 조대엽. 2014. 『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사회갈등과 공공성의 재구성에 관한 사회학적 성찰』나남
2) 손호철. 2002. 『근대와 탈근대의 정치학』 문화과학사. 17-153. 제 1부 총론, 제 2부 정치, 권력 국가, 민주주의.
3) 스튜어트 홀(Stuart Hall)저(전효관, 김수진 외 역).2000. 『모더니티의 미래』.제 7장 계몽주의 기획의 재조명(그레고어 맥레넌). 386-442.
4) 울리히 벡(Ulrich Beck). 1998. “정치의 재창조: 성찰적 근대화이론을 향하여.” 앤소니 기든스․울리히 벡․스콧 래쉬 지음(임현진․정일준 역)『성찰적 근대화』. 한울.
5) 울리히 벡(Ulrich Beck)(문순홍 역). 1998.『정치의 재발견』. 거름. “제 7장 정치의 재발견” 233-278.
6) Jessop, Bob. 2004. "Developments in Marxist Theory." Kate Nash & Alan Scott(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MA: Malden, Blackwell Publishing. 7-16.
7) Owen, David. 2004. "'Postmodern' Political Sociology." Kate Nash & Alan Scott(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MA: Malden, Blackwell Publishing. 71-81.

제 2주제: 국가, 시장, 시민사회와 공공성의 재구성

제 5 주 국가-시장-시민사회의 정치와 공공성의 재구성

ISSUES) 국가-시장-시민사회/ 공공성의 구조와 재구성

READINGS)

❖) 조대엽. 2014. 『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사회갈등과 공공성의 재구성에 관한 사회학적 성찰』나남
❖) 조대엽. 2015. 『생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의 모색』나남.
1) 김호기. 2007. “국가, 시장, 시민사회관계의 새로운 모색.” 『한국 시민사회의 성찰』아르케. 17-37.
2) 박상필. 2007. 『NGO학 - 자율, 참여, 연대의 동학』133-198.
3) 신진욱. 2007. “공공성과 한국사회.” 『시민과 세계』. 제 11호.

제 6 주 국가공공성

ISSUES) 근대국가의 기능/ 국가와 경제/ 복지국가/국가의 퇴각?

READINGS)

❖) 조대엽. 2014. 『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사회갈등과 공공성의 재구성에 관한 사회학적 성찰』나남
❖) 조대엽. 2015. 『생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의 모색』나남.
1) 크리스토퍼 피어슨(Christopher Pierson)(박형신, 이택면 역). 1998. 『근대 국가의 이해』. 일신사. “제 2장 국가와 근대성” 59-98.
2) 크리스토퍼 피어슨(Christopher Pierson)(박형신, 이택면 역). 1998. 『근대 국가의 이해』. 일신사. “제 2장 국가와 경제” 141-183.
3) 클라우스 오페(Claus Offe)(한상진 역).1988. 『국가이론과 위기분석』 전예원. “제 1부 후기자본주의와 국가”. 33-98.
4) 수잔 스트레인지(양오석 역). 2001. 『국가의 퇴각 - 세계경제 내 권력의 분산』. 푸른길.
5) 마누엘 카스텔(Manuel Castells) .2008. 『정체성 권력』, 제 5장 “세계화, 정체성 그리고 국가: 권력없는 국가인가, 네트워크 국가인가.”

제 7 주 시민사회의 공공성

ISSUES) 시민사회의 구조/공공영역/사회운동과 사회서비스

READINGS)

❖) 조대엽. 2014. 『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사회갈등과 공공성의 재구성에 관한 사회학적 성찰』나남
❖) 조대엽. 2015. 『생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의 모색』나남.
1) 신광영. 1995. “시민사회 개념과 시민사회 형성.” 유팔무․김호기 엮음.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울. pp.80-123.
2) 임혁백. 2001. “서구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smog』. 창간호. pp. 100-131.
3) 이신행 외. 1999. 『시민사회운동 - 이론적 배경과 국제적 사례』. 법문사. pp. 31-35.
4) 유팔무. 1995. “그람시 시민사회론의 이해와 한국적 수용의 문제” 유팔무․김호기 엮음.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울. pp.60-79.
5) 하버마스(한승완 역). 2001. 『공론장의 구조변동: 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나남.
6) Cohen, Jean L. and Andrew Arato. 1992 Civil Society and Political Theory.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1-26(Introduction)

제 8 주 중간고사

제 9 주 시장공공성

ISSUES) 시장과 계급/ 글로벌 체제와 시장공공성

READINGS)

❖) 조대엽. 2014. 『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사회갈등과 공공성의 재구성에 관한 사회학적 성찰』나남.
❖) 조대엽. 2015. 『생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의 모색』나남.
2) 주성수. 2003. 󰡔기업시민정신과 NGO󰡕. 아르케..
3) 설리 사가와, 엘리 시걸(Shirley Sagawa and Elic Segal) 저(이형진 역). 2002. 󰡔아름다운 제휴 - 기업과 시민사회단체가 만났을 때󰡕. 아르케.
존 어리(John Urry)(이기홍, 엄창순 역). 1994. 󰡔경제, 시민사회 그리고 국가󰡕. 한울. “제 2 장 시민사회” 23-44.
존 어리(John Urry)(이기홍, 엄창순 역). 1994. 󰡔경제, 시민사회 그리고 국가󰡕. 한울. “제 2 장 시민사회” 23-44.
4) 존 어리(John Urry)(이기홍, 엄창순 역). 1994. 󰡔경제, 시민사회 그리고 국가󰡕. 한울. “제 3 장 생산의 영역과 유통의 영역”. 45-68.
5) 레슬리 스클레어(Leslie Sklair)(정헌주 역). 2002. 『지구체계의 사회학』. 일신사. “제 1 장 지구체계의 사회학”
6) 레슬리 스클레어(Leslie Sklair)(정헌주 역). 2002. 『지구체계의 사회학』. 일신사. “제 3 장 기업, 계급, 소비주의”

제 3 주제: 정치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제 10 주 정당과 정치과정

ISSUES) 선거와 정당/ 한국정당의 권력구조

READINGS)

❖) 조대엽. 2015. 『생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의 모색』나남.
1) 게오르게 A. 쿠르베타리스(George Andrew Kourvetaris)(박형신, 정헌주 역). 1998. 『정치사회학』. 일신사. “제 7장 정치참여와 투표”
2) 게오르게 A. 쿠르베타리스(George Andrew Kourvetaris)(박형신, 정헌주 역). 1998. 『정치사회학』. 일신사. “제 8장 정당”
3) Kitschelt, Herbert. "Parties and Political Intermediation." Kate Nash & Alan Scott(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MA: Malden, Blackwell Publishing.149-163.
4) 김영태. 2009. “제 3 장. 정당과 민주주의.” 『민주주의 강의 3- 제도』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5) 장훈. 1997. “한국 민주화 10년의 정당정치: 공고화의 지연과 맹아적 정당정치의 지속.” 최장집.임현진 공편『한국사회와 민주주의』.나남출판.
6) 장훈. 2009. “민주화 20년의 정당정치: 회색지대 속의 현실과 이론의 전개.” 『한국과 국제정치』제 25권 제 1호 ..
7) 영국노동당의 개혁, 미국 민주당의 개혁, 독일 해적당의 실험 사례

제 11 주 미디어와 정치

ISSUES) 미디어 커뮤니케이션과 권력(미디어의 소유구조)/ 여론통제

READINGS)

❖) 조대엽. 2015. 『생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의 모색』나남.
1) 게오르게 A. 쿠르베타리스(George Andrew Kourvetaris)(박형신, 정헌주 역). 1998. 『정치사회학』. 일신사. “제 5장 미디어 커뮤니케이션과 권력”
2) Thompson, John B. "The Media and Politics." Kate Nash & Alan Scott(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MA: Malden, Blackwell Publishing. 173-182.
3) 네트워크 정치, 디지털 정당, 스마트 정치의 사례

제 12주 정체성의 정치

ISSUES) 상상의 공동체/ 정치적 의례/ 몸의 정치( Body Politics)

READINGS)

1) 마누엘 카스텔(Manuel Castells) .2008. 『정체성 권력』한울아카데미.
2) 베네딕트 앤더슨. (윤형숙 역). 2004. 『상상의 공동체 -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
2) 크리스 쉴링(Chris Shilling)(임인숙 역). 1999. . 나남출판. “제 4장 사회적으로 구성된 몸”
3) 브라이언 터너(Bryan Terner)(임인숙 역). 2002. 『몸과 사회』. 몸과 마음. “제 4장 몸의 질서” “제 5 장 몸의 통치.”
4) Noval, Aletta J. 2004. "The Politics of Ethnicity and Identity. Kate Nash & Alan Scott(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MA: Malden, Blackwell Publishing.271-280.
5) Baringhorst, Sigrid. 2004."Political Rituals." Kate Nash & Alan Scott(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MA: Malden, Blackwell Publishing. 291-301.
6) 실제 사례분석

제 13 주 시민권(Citizenship)

ISSUES) 근대시민권의 구성/ 시민권과 젠더/ Membership의 탈민족화

READINGS)

❖) 조대엽. 2015. 『생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의 모색』나남.
1) 크리스토퍼 피어슨(Christopher Pierson)(박형신, 이택면 역). 1998. 『근대 국가의 이해』. 일신사. “제 5장 국가와 시민” 185-221.
2) 김성배. 1993. “지구화시대의 민족주의.” 하영선 편. 󰡔탈근대 지구정치학󰡕. 나남..
3) Lister, Ruth. 2004. "Citizenship and Gender." Kate Nash & Alan Scott(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MA: Malden, Blackwell Publishing. 323-332
3) Soysal, Yasemin Nuhoglu. 2004. "Postnational Citizenship: Reconfiguring the familiar Terrain."Kate Nash & Alan Scott(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MA: Malden, Blackwell Publishing. 333-341.
4) Procacci, Giovanna. 2004. "Governmentality and Citizenship." Kate Nash & Alan Scott(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MA: Malden, Blackwell Publishing. 342-351.
5) 시민권 관련 사례분석(마이너리티 관련 문헌 포함),

제 4 주제: 정치적 전환: 민주화, 지구화, 공공성의 재구성

제 14 주 민주화/ 민주주의

ISSUES) 한국의 민주화/ 권위주의 이후의 권위구조/ 대의민주주의의 한계

READINGS)

❖) 조대엽. 2015. 『생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의 모색』나남
❖) 조대엽. 2014. 『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나남
1) 성경륭. 1995. “한국 정치민주화의 사회적 기원: 사회운동론적 접근.” 임현진, 송호근 공편. 『전환의 정치, 전환의 한국사회』사회비평사.
2) 임혁백. 1990. “한국에서의 민주화과정 분석: 전략적 선택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24.
3) 조대엽․박길성 외, 2005. 『한국사회 어디로 가나? - 권위주의 이후의 권위구조, 그 대안의 모색』굿 인포메이션. (제 1 장, 근대와 탈근대의 권위구조와 권위의 위기.)
4) 조대엽․박길성 외, 2005. 『한국사회 어디로 가나? - 권위주의 이후의 권위구조, 그 대안의 모색』굿 인포메이션. (제 2 장 정보사회와 지식권위)
5) 조대엽․박길성 외, 2005. 『한국사회 어디로 가나? - 권위주의 이후의 권위구조, 그 대안의 모색』굿 인포메이션.( 제 3 장 민주주의와 권위)
6) 최장집. 2005. 󰡔민주화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7)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2007. 『민주주의 강의 3- 제도』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8)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2007. 『민주주의 강의 2- 사상』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9)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편, 2007. 『민주주의 강의 1- 역사』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8) 주성수, 정상호 편저. 『민주주의 대 민주주의』아르케.
9) Foweraker, Joe. 2004. "Democratization: Transformation, Transition, Consolidation: Democratization in Latin America." Kate Nash & Alan Scott(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MA: Malden, Blackwell Publishing. 355 - 365.

제 15 주 지구화

ISSUES) 지구화/ 지구시민사회/ 초국적사회운동

READINGS)

1) 레슬리 스클레어(Leslie Sklair)(정헌주 역). 2002. 『지구체계의 사회학』. 일신사. “제 1 장 지구체계의 사회학”
2) 헬무트 안하이어, 메어리 칼도어, 말리스 글라시우스 공저(조효제, 진영종 역) 2004. 『지구시민사회 - 개념과 현실』. 아르케. 제 1장 “지구시민사회의 개념.” pp.13-31.
3) 헬무트 안하이어, 메어리 칼도어, 말리스 글라시우스 공저(조효제, 진영종 역) 2004. 『지구시민사회 - 개념과 현실』. 아르케. 제 2장 “9.11이후 지구시민사회의 현황.” pp.33-57.
4) 헬무트 안하이어, 메어리 칼도어, 말리스 글라시우스 공저(조효제, 진영종 역) 2004. 『지구시민사회 - 개념과 현실』. 아르케. 제 3장 “반자본주의 운동.” pp.59-79.
5) 임현진.공석기. 2003. “NGO/NPO연구의 최근동향: 초국적 사회운동을 중심으로.” 한국NGO학회.『NGO연구』. 창간호.
6) 주요사례

제 16 주(6/16,18) 기말고사
 
2. 사회계층론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언어
POLITICS 핵심전공 2,3학년 1학기 국강
국문요약 사회계층에 관한 고전 및 이론과 역사를 소개하고 자본주의 사회의 전개에 따른 계급구조의 변화를 추적한다. 그리고 현재 정보화 및 지구화시대에서의 사회계층구조와 계급관계의 의미에 대해 검토한다. 아울러 한국의 계층구조에 대해서도 탐구한다.
영문요약  
강의자료 <사회불평등> 에드워드 G. 그랩, 고려대학교 출판부
현대 사회계급론 편집 자료(별도 제공)
한국 사회 불평등과 관련한 단행본 또는 시사자료 그때그때 제공
선수 과목 사회학적 상상력, 사회학 발달사
이수 후
권장과목
사회정책 및 사회운동 관련 강좌
기대효과 * 사회불평등에 관한 이론의 변천에 대한 지식을 함양하여 사회학의 필요성, 사회학의 방향 그리고 사회불평등 해소 방안에 대한 통찰력을 키우게 된다.
최근 강의계획서


수업개요:

사회계층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과 역사를 소개하고 자본주의 사회의 전개에 따른 계급구조의 변화를 추적한다. 그리고 현재 정보화 및 지구화시대에서의 사회계층구조와 계급관계의 의미에 대해 검토한다. 아울러 한국의 계층구조에 대해서도 탐구한다.

학습목표:

1. 사회계층 및 계급에 대한 고전이론 및 현대이론을 탐구함으로써 계층사회에 대한 지식을 함양한다.
2. 현재 한국사회의 계층구조에 대한 이해를 증진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불평등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교재:

<사회불평등> 에드워드G. 그랩, 고려대학교 출판부/현대 사회계급론 편집 자료(별도 제공)
 

학 습 내 용
1   강의개요
2 1장(1-11) 사회불평등의 기원과 역사
3 1/ 2장(12-49) 칼 맑스의 계급이론
4 2/ 2장(12-49) 칼 맑스의 계급이론
5 3장(50-96) 베버의 계층이론
6 6장(197-211) 현대사회와 계급분화와 중간계급이론
7 (91-104) 구조주의 계급론
8   중간고사
9 5장(211-234) 문화주의적전환/톰슨~부르디외
10 2-3(104-129) 현대계급이론의 전개-분석적 맑스주의
11 2-3(104-129) 계급에 대한 재해석-포스트 맑스주의
12 3-2(77-104) 정보화와 계급구조
13   지구화와 계급구조
14   한국 사회의 불평등-빈부격차, 교육
15   한국 사회의 불평등-주택, 의료
16   기말고사

 

3. 사회변동론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POLITICS 핵심전공 2,3 학년 1학기 김철규 국강
국문요약 이 강의의 목표는 사회변동을 체계적으로, 그리고 역사적 동학을 존중하며 이해하는 데 있다. 지구적 차원의 사회변동을 역사화하고, 한국사회의 특수한 맥락에서 관찰되는 변화를 이론화하고자 한다.
영문요약 The goal of this class is to understand social change in a systemic way while respecting the historical dynamics.
강의자료 * 기본 참고문헌:
McMichael, Philip. 2012.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Sage. 조효제 역. 2013. 『거대한 역설』. 교양인.
* 심화 참고문헌:
• Polanyi, Karl. 1944. The Great Transformation.
• 임혁백. 2014. 『비동시성의 동시성』. 고려대출판문화원.
• 지주형. 2011.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책세상.
선수 과목 사회학 발달사, 현대사회학 이론
이수 후
권장과목
 
기대효과 * 한국 및 지구사회 변화의 거시적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함.
최근 강의계획서

사회변동론 (2016년 1학기)

강의시간: 10시 30분(ckkim@korea.ac.kr)/ 3290-2077

강의개요

이 강의의 목표는 사회변동을 체계적으로, 그리고 역사적 동학을 존중하며 이해하는 데 있다. 모든 사회학자들과 사회학 분과들은 사회변동에 관심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막스 베버, 칼 마르크스, 뒤르켐 등 고전사회학자들 역시 거대한 사회전환의 과정에서 관찰되는 변화의동학을 이해하려고 했다. 이후 사회학은 근대화, 산업화, 도시화, 세계화 등 시대의 변화 속에서 그 특징과 의미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 강좌는 사회변동이란 무엇이고, 그것을 어떻게 개념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한다.
이어서 우리 시대 사회변동의 핵심 개념인 ‘발전’과 ‘세계화’로 관심을 옮겨, 우리가 어디에서 왔으며 어디로 가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발전과 세계화는 20세기와 21세기 우리 시공간을 구조화했으며, 또 재구조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개별 국민국가 단위를 넘어서는 보편적 현상이었다. 동시에 이러한 보편적 과정은 개별 국민국가들 내에서 특수한 형태로 발현되었다. 따라서 우리는 지구적 차원의 사회변동을 역사화하고, 한국사회의 특수한 맥락에서 관찰되는 변화를 이론화해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우리의 주교재인 『거대한 역설』(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및 관련 도서를 함께 정독하며, 이를 한국사회의 변화와 연결시켜 생각하고 토론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할 것이다. 이러한 지적인 작업을 통해 한국사회와 세계의 변동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읽을 거리(교재)

- McMichael, Philip. 2012.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Sage. 조효제 역. 2013. 『거대한 역설』. 교양인. 서평
- Polanyi, Karl. 1944. The Great Transformation. 홍기빈 역. 2009. 『거대한 전환』. 길.

수업 운영

-이 수업은 강의, 조(組)별 토론, 발표, 전체 토론 등의 복합적 형태로 진행된다. -모든 수강생들은 학기 초에 조에 배정될 것이며, 이후 조는 수강생들에게 매우 중요한 학습 및 소통의 공간으로 활용될 것이다. -조는 수업과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한다.

(1) 각 조는 『거대한 역설』의 한 장씩을 맡아, 텍스트를 바탕으로 토론 거리 3-5개 정도를 구 성하고 토론을 진행한다. 이때 가능하면 한국의 사회변동과 연관시켜 생각해보도록 한다.

(2) 현재의 사회변동을 통찰하는 키워드를 하나 잡아 관련 문헌/도서를 한 권씩 선정하여, 그 내용을 정리·발표하고 함의를 제시한다.
키워드(예시): 고령화, 세계화, 지역화, 협동, 정보화, 융합화, 위험사회, 불안사회, 달관세대, 뉴미디어, 사회적 자본 등등...

(3) 앞에서 선택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 진행되는 사회 변동의 특징·원인·함의를 분석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심층적 연구를 수행하여 학기 말에 발표한다.

평가

-출석: 5%/코멘트: 10%, 모든 수강생은 한 학기 동안 3차례에 걸친 짤막한 촌평을 작성하여 탑재한다. 촌평은 월요일 오전 9시 전에 탑재하며, 해당 주의 읽을거리에 대한 자신의 생각·질문·비판 등을 내용으로 한다. (요약은 최소화할 것! 순서는 조 단위로.)

-서평: 10%, 『거대한 전환』, (마감: 4월 1일(수) 오전 9시; 분량: A4 2~3장, 함초롱바탕 폰트 크기 10)

-중간고사: 20%

-조별 발표: 25% (발제 및 토론 진행 5%; 최종 연구발표 20%)

-기말고사: 30%


일정 학 습 내 용
1   과목 소개
2   사회변동 : 개념의 이해
3   고전이론가들과 사회변동
4 Ch.1 발전과 세계화의 조망, McMichael
5 Ch.2 발전주의 프로젝트의 제도화, McMichael
6 Ch.3 발전주의 프로젝트, McMichael
7 Ch.4 발전을 세계화하기, McMichael
8   중간고사
9 Ch.5 세계화 프로젝트의 제도화, McMichael
10 Ch.6 세계화 프로젝트의 실행, McMichael
11 Ch.7 전지구적 저항운동, McMichael
12 Ch.8 세계화프로젝트의 위기,McMichael
13 Ch.9 지속가능성 프로젝트, McMichael
14 Ch.10 발전을 다시 생각한다,McMichael , 교육
15   조별 연구결과 발표
16   기말고사

 

4. 한국사회의 구조와 변동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POLITICS 핵심전공 2,3학년 2학기 조대엽 국강
국문요약 이 강좌는 한국의 사회변동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을 추구하는 학생들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비판사회학적 상상력을 제공하는 비교역사사회학과 정치사회학의 관점에 기초해 사회구조와 사회현상을 탐구한다.
영문요약 This course is designed for students who are seeking a multiframe approach of social changes in Korean. It investigates social structure and social phenomena from comperative historical and political sociological perspective, offering a more critical sociological imagination.
강의자료 * 참고문헌: 강의계획서 참조.
선수 과목 사회학적 상상력, 사회학 발달사, 현대사회학이론, 사회문제론, 사회변동론
이수 후
권장 과목
비교사회학, 정치사회학, 사회운동조직론, 집합행동론, 역사사회학
기대효과 * 사회변동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 사회구조의 분화와 재구조화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
* 한국의 사회구조와 변화에 대한 다층적 접근과 해석 – 기자, PD, 학자 등
최근 강의계획서

강의계획서

한국사회의 구조와 변동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2015학년도 1학기

이 강좌는 ‘우리 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한국의 사회변동을 다룬다. 주지하듯이, 해방 이후 한국의 사회변동은 산업화와 민주화를 주축으로 구조화되었다. 산업화가 국가에 의한 시장의 육성과정이었다면, 민주화는 국가와 시민사회 사이에서 벌어진 각축의 과정이었다. 이런 점에서 민주화와 산업화는 이질적인 과정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 그러나 사회변동의 두 축에 ‘개발독재’라는 권위주의국가의 지배적 힘이 동일하게 작용하였다. 다만, 시장과 시민사회에서 그 지배적 힘에 대한 작용과 반작용이라는 서로 다른 결정구조를 낳았을 뿐이다. … 이 대목에서 우리가 주목할 논점은 산업화와 민주화를 각기 수식하는 ‘압축적’이고 ‘불완전한’ 근대화의 의미일 것이다.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경제성장의 열매는 어디로 갔을까? 한국의 정치는 왜 늘 후진성이라는 표식을 떼내지 못하고 새로움이라는 오랜 도전으로부터 헤어나오지 못하는 것일까? 시민들의 불안한 삶의 조건은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나? 이런 원초적인 물음들이 ‘우리 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과 전망’에 관심을 갖게 만든다. …이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은 한국사회에 고착된 다양한 구조적 문제들이 사회변동의 정치과정 가운데 어느 지점에서 왜 발생했는지, 그리고 현재 우리의 삶을 어떻게 주조하고 있는지, 그렇다면 무엇을 할 것인지를 두고서 공감과 소통의 장을 마련하길 기대한다.

특히
1) 사회변동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와
2) 사회구조의 분화와 재구조화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3) 한국의 사회구조와 그 변화에 다층적으로 접근하고 해석하는 힘을 기르길 바란다.
이 강좌는 사회구조와 현상에 관한 사회학적 이해력을 요구한다. 따라서 사회과학에 익숙하거나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이 강좌를 권한다. 더불어 이 강좌는 다른 수업에 비해 발표와 토론의 비중이 크다. 원활한 수업진행을 위해 참고하기 바란다.

학습목표

1) 사회변동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2) 사회구조의 분화와 재구조화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
3) 한국의 사회구조에 대한 다층적 접근과 해석

강의일정

1 주 (3.3) – 강의소개 및 일정공유 9 주 (28/5.3) – 도시화와 주택문제
2 주 (8/10) – 한국의 사회지표 읽기 10 주 (10/12) – 교육체계와 불평등
3 주 (15/17) – 사회변동의 사회학 11 주 (17/19) – 노동시장과 청년실업
4 주 (22/24) – 식민지배의 유산 12 주 (24/26) – 민주주의와 권력엘리트
5 주 (29/31) – 한국전쟁과 분단체제 13 주 (31/6.2) – 시민사회와 사회운동
6 주 (4.5/7) – 개발독재와 한국의 자본주의 14 주 (7/9) – 신자유주의와 한국사회
7 주 (12/14) – 개발독재와 한국의 민주주의 15 주 (14) – 종합토론: 무엇을 할 것인가?
8 주 (19/21) – 보강 및 중간평가 16 주 (16~21) – 기말평가 (학기말 논문 제출)


주별 강의주제 및 읽을거리

제 1 주 강의소개 및 일정공유_3.3

제 2 주 한국의 사회지표 읽기_3.8 / 3.10


* 통계청. 2015. 『2014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 최장집. 2010.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의 자화상.”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한국 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후마니타스. 개정판. 1장. pp. 19~46.
* 신광영. 2006. “현대 한국의 사회변동: 고도산업화 시기에 대한 비판적 성찰.” 『경제와사회』69: 10-39.

제 3 주 사회변동의 사회학_3.15 / 3.17

* Raymond Boudon. 2011. 『사회변동과 사회학』. 민문홍 옮김. 한길사.
* Charles Tilly. 1999. 『비교역사사회학: 거대 구조, 폭넓은 과정, 대규모 비교』. 안치민ㆍ박형신 옮김.일신사.
* Robert H. Lauer. 1985. 『사회변동의 이론과 전망: 변동의 유형ㆍ메커니즘ㆍ전략』. 정근식ㆍ김해식 옮김.한울.

제 4 주 식민지배의 유산_3.22 / 3.24

* 전재호. 2012. “한국 민족주의의 반공 국가주의적 성격: 식민지적 기원과 해방 직후의 전개 양상.” 『식민지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 1』. 정근식ㆍ이병천 엮음. 책세상. pp. 129~166.
* 이병천. 2012. “권위주의적 근대화의 역사적 기원: 식민지 유산 연속설의 비판적 검토.” 『식민지유산,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 2』. 정근식ㆍ이병천 엮음. 책세상. pp. 13~61.
* 허수열. 2012. “공업화의 유산.” 『식민지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 2』. 정근식ㆍ이병천 엮음.책세상. pp. 62~98..
* 윤해동. 2006. “식민지 인식의 ‘회색지대’: 일제하 ‘공공성’과 ‘규율권력’.” 『근대를 다시 읽는다 1』.윤해동 외 엮음. 역사비평사. pp. 37~61.
* Bruce Cumings. 2001. “망국, 1905~45년.”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현대사』. 김동노 외 옮김. 창작과비평사. 장 3 . pp. 198~260.

제 5 주 한국전쟁과 분단체제_3.29 / 3.31

* 김동춘. 2010. “한국전쟁 60년, 한반도와 세계.” 『역사비평』91: 152~181.
* 강인철. 2006. “한국전쟁과 사회의식 및 문화의 변화.” 『근대를 다시 읽는다 1』. 윤해동 외 엮음. 역사비평사. pp. 349~433.
* Bruce Cumings. 2001. “충돌, 1948~53년.”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현대사』. 김동노 외 옮김. 창작과비평사. 5장. pp. 332~418.
* 김동춘. 2000. 『전쟁과 사회: 우리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돌베개.

❙한국전쟁의 성격을 둘러싼 논쟁❙남남갈등과 대북정책❙적대적 공존과 평화의 간극을 넘어❙

제 6 주 개발독재와 한국의 자본주의_4.5 / 4.7


* 장하성. 2014. “뒤죽박죽 한국 시장경제.” 『한국 자본주의: 경제민주화를 넘어 정의로운 경제로』. 헤이북스. 2장. pp. 77~144.
* 이병천. 2014. 『한국 자본주의 모델: 이승만에서 박근혜까지, 자학과 자만을 넘어』. 책세상.
* 장진호. 2014. “한국 재벌과 ‘무책임의 경제.” 『역사비평』108: 91~119.
* 이병천. 2006. “반공 개발독재와 돌진적 산업화: ‘한강의 기적’과 그 딜레마.” 『시민과세계』8: 115~138.
* 이병천. 2003. “개발독재의 정치경제학과 한국의 경험: 극단의 시대를 넘어서.”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이병천 엮음. 창비. pp. 17~65.

❙개발독재시기 경제성장에 대한 평가❙압축적 산업화의 신화❙발전주의와 민족주의의 접합❙

제 7 주 개발독재와 한국의 민주주의_4.12 / 4.14


* 조희연. 2010. 『동원된 근대화: 박정희 개발동원체제의 정치사회적 이중성』. 후마니타스.
* 최장집. 2010. “보수적 민주주의의 기원.”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한국 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후마니타스. 개정2판. 2부. pp. 49~151.
* 전재호. 2005. “유신체제의 구조와 작동 기제.” 『유신과 반유신』. 안병욱 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pp. 105~160.
* 진중권. 2003. “죽은 독재자의 사회: 박정희 신드롬의 정신분석학.”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이병천 엮음. 창비. pp. 339~364.
* 홍윤기. 2003. “민주화시대의 ‘박정희’: 박정희 신격화 담론과 일상적 파시즘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이병천 엮음. 창비. pp. 365~398.

❙유신체제와 새마을운동의 이데올로기❙박정희 신드롬과 한국정치❙

제 8 주 보강 및 중간평가_4.19 / 4.21

제 9 주 도시화와 주택문제_4.28 / 5.3


* 통계청. 2016. 『2015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 손낙구. 2008. 『부동산 계급사회』. 후마니타스.
* Valérie Gelézeau. 2007. 『아파트 공화국: 프랑스 지리학자가 본 한국의 아파트』. 길혜연 옮김. 후마니타스.

❙민달팽이유니온❙한국의 주거복지와 주거불평등❙젠트리피케이션❙

제 10 주 교육체계와 불평등_5.10 / 5.12


* 신명호. 2015. “교육은 불평등을 치유할 수 있는가?” 『불평등 한국, 복지국가를 꿈꾸다』. 이정우ㆍ이창곤 외. 후마니타스. pp. 207~222.
* 조희연. 2014. 『병든 사회, 아픈 교육: 대중 요법에서 구조 전환으로』. 한울.
* 장상수. 2009. 『교육과 사회이동』. 그린.
* 김종엽. 2003. “한국 사회의 교육 불평등.” 『경제와사회』59: 55~77.

❙교육, 여전히 사회이동의 사다리인가?❙교육 불평등에 얽힌 구조적 복잡성과 연쇄성 해부하기❙

제 11 주 노동시장과 청년실업_5.17 / 5.19


* 전병유. 2015. “박근혜 정부 노동개혁 평가와 과제.” 『황해문화』89: 256~271.
* 정이환. 2013. “기업내부노동시장의 변화, 1982~2007: 직종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47(5): 209~240.
* 정이환. 2013. “노동시장의 사회학적 연구의 쟁점.” 『경제와사회』100: 94~113.
* 류기락. 2012. “노동시장제도와 청년 고용: OECD 주요 국가 노동시장의 제도적 상보성.” 『경제와사회』96: 252~287.

❙노동시장과 취업전쟁❙복지 없는 노동의 불가피성?❙청년배당 논쟁을 둘러싼 토론❙

제 12 주 민주주의와 권력엘리트_5.24 / 5.26


* 조대엽. 2015. 『생활민주주의의 시대: 새로운 정치 패러다임의 모색』. 나남.
* 이지문. 2015. 『추첨민주주의 강의』. 삶창.
* C. Wright Mills. 2013. 『파워 엘리트』. 정명진 옮김. 부글북스.
* 이내영. 2011.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원인: 국민들의 양극화인가, 정치엘리트들의 양극화인가?” 『한국정당학회보』10(2): 251~287.
* Ernest Callenbach and Michael Phillips. 2011. 『추첨 민주주의: 선거를 넘어 추첨으로 일구는 직접 정치』. 손우정ㆍ이지문 옮김. 이매진.
* 이성로. 2010. “한국 지배층의 이데올로기적 헤게모니: 그 구조와 작용원리.” 『동향과전망』80: 143~183.
* 장덕진ㆍ김기훈 공저. 2006. 『대한민국 파워엘리트: 한국을 움직이는 엘리트, 그들은 누구인가?』. 황금나침반.
* Bernard Manin. 2004. 『선거는 민주적인가: 현대 대의 민주주의의 원칙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곽준혁 옮김. 후마니타스.

❙한국의 권력엘리트, 무엇이 문제인가?❙선거제도의 합리성 비판❙추첨민주주의의 정치적 상상력❙

제 13 주 시민사회와 사회운동_5.31 / 6.2


* 김동노. 2013. “시민운동의 정치 참여를 통해 본 시민운동의 성장과 한계.” 『현상과인식』120: 59~85.
* 김동노. 2013. “한국의 사회운동과 국가: 국가의 사회개입과 사회운동의 정치지향성.” 『한국사회의 사회운동』. 김동노 외. 다산출판사. 1장. pp. 4~33.
* 조대엽. 2013. “사회운동과 동원의 구조: 사회운동조직과 ‘유연자발집단’.” 『한국사회의 사회운동』. 김동노 외. 다산출판사. 2장. pp. 36~60. 조대엽. 2007. 『한국의 사회운동과 NGO: 새로운 운동주기의 도래』. 아르케.
* 김동춘. 1999. “한국 사회운동 100년: 정치변혁에서 ‘사회만들기’로.” 『경제와사회』44: 91~115.
『황해문화』78: 12~32.

제 14 주 신자유주의와 한국사회_6.7 / 6.9

* 김정훈. 2015. “개인화의 양면성과 새로운 정치의 가능성.” 『동향과 전망』94: 99~44.
* 지주형. 2014. “세월호 참사의 정치사회학: 신자유주의의 환상과 현실.” 『경제와사회』104: 14~55.
* 신경아. 2013. “‘시장화된 개인화’와 복지 요구(welfare needs).” 『경제와사회』98: 266~303.
* 나종석. 2009. “신자유주의적 시장 유토피아에 대한 비판.” 『사회와 철학』18: 187~216.

❙신자유주의, 위기진단의 x-ray?❙신자유주의와 공공성의 재발견❙

제 15 주 종합토론: 무엇을 할 것인가?_6.14

❙‘국가-시장-시민사회’의 경직성을 넘어...❙사회구조를 변화시키는 원천과 자원에 대한 탐구❙

제 16 주 기말평가(학기말 논문 제출)_6.16 ~ 21.


● 기말논문; 인용, 각주, 참고문헌 등 지정해준 양식에 따라 연구논문 형태로 작성
● 수강인원이 확정되면 추첨발표를 조발표로 전환하는 등 불가피한 강의조정이 발생할 수 있음.

5. 복지사회학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POLITICS 핵심전공 2,3 학년 2학기 김원섭 영강
국문요약 현대 사회의 가장 중대한 변화 중 하나가 복지 국가다. 또한 한국에서는 사회정책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강좌는 사회정책 분야의 기초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복지국강의 이론적 논의를 시작할 것이다. 이 강좌를 통해서 사회정책과 복지국가를 이해할 수가 있을 것이다.
영문요약 The welfare state is one of most important area of social change in modern societies. Also in Korea, the importance of social policy is steadily increasing. The aim of this course is to provide an introduction to the field of social policy. The course begins with theoretical part of the welfare state. We will discuss how we may understand social policy and the welfare state.
강의자료 Preliminary Reading
김원섭. 2007. 복지국가란 무엇인가? 시민권 이론의 관점에서. 사회보장연구 23: 139-166.
김원섭. 2012. 다중맥락사회에서 사회통합과 공공성. 한국사회 13: 123-158.
Pierson, C. 2007: Beyond the Welfare State? 3. edition, Polity Press
Kaufmann, Franz-Xaver. 2013. 2. Theoretical Foundations, in: Kaufmann, Franz-Xaver. Variationsof the Welfare State, London, Springer: 28-43.
PSupplementary Reading
가스통 림링거. 1991. <사회복지의 사상과 역사>, 한울.
Kaufmann, Franz-Xaver. 2002. Sozialpolitik und Sozialstaat. Leske+Budrich(정연택 역. 2004. 사회정책과 사회국가, 사회학적 분석. 21세기사)
_____________. 2012. European Foundations of the
Welfare state. New York. Berghahn.
______________. 2013. Variationsof the Welfare State, London, Springer
Luhmann, Niklas. 1981. Politische Theorien im Wohlfahrtsstaat. Olzog(김종길 역. 2001. 복지국가의 정치이론. 일신사).
최근 강의계획서

Korea University
Welfare Sociology

Department of Sociology: Fall 2015
Teacher Responsible: Prof. Dr. Kim, Won Sub
Email: \*kimwonsub2@korea.ac.kr

The welfare state is one of most important area of social change in modern societies.Also in Korea, the importance of social policy is steadily increasing. The aim of this course is to provide an introduction to the field of social policy. The course begins with theoretical part of the welfare state. We will discuss how we may understand social policy and the welfare state. The second part of the course will deal with the development and retrenchment of the western welfare states.

Lectures:

Tue 02:00-03:15, Thu 02:00-03:15

Report:

All students have to give a presentation on a topic (about 7-8 min.) and submit one report (about 4pages, A4 size). Report questions will be given during the lecture.

Tests:

Your final grade for the course will be based on the following requirements:
Presentation and Report 20 points
Two exams 60 points
Attendance in classes 10 points
Participation in classes 10 points
Total 100 point


Preliminary Reading

*김원섭. 2007. 복지국가란 무엇인가? 시민권 이론의 관점에서. 사회보장연구 23: 139-166.
*김원섭. 2012. 다중맥락사회에서 사회통합과 공공성. 한국사회 13: 123-158.
*ierson, C. 2007: Beyond the Welfare State? 3. edition, Polity Press
*Kaufmann, Franz-Xaver. 2013. 2. Theoretical Foundations, in: Kaufmann, Franz-Xaver. Variationsof the Welfare State, London, Springer: 28-43

Supplementary Reading

*가스통 림링거. 1991. <사회복지의 사상과 역사>, 한울.
*Kaufmann, Franz-Xaver. 2002. Sozialpolitik und Sozialstaat. Leske+Budrich(정연택 역. 2004. 사회정책과 사회국가, 사회학적 분석. 21세기사)
______________. 2012. European Foundations of the Welfare state.

*New York. Berghahn.
______________. 2013. Variationsof the Welfare State, London, Springer
*Luhmann, Niklas. 1981. Politische Theorien im Wohlfahrtsstaat.
*Olzog(김종길 역. 2001. 복지국가의 정치이론. 일신사).
*Pierson, C. and Castles, F., 2006: Welfare State, Reader, 2.edition, Polity.

Reading list

I. What is the Welfare State?

1. Definition of the welfares state

*김원섭. 2007. 복지국가란 무엇인가? 시민권 이론의 관점에서. 사회보장연구 23: 139-166.
*김원섭. 2012. 다중맥락사회에서 사회통합과 공공성. 한국사회 13: 123-158.
* Marshal, T. H. 1950: Citizenship and Social Class, in: Pierson, C.
and Castles, F. 2007: Welfare State Reader, Cambridge, Polity Press: 30-39.
*Kaufmann, Franz-Xaver. 2002. Sozialpolitik und Sozialstaat. Leske+Budrich(정연택 역. 2004. 사회정책과 사회국가, 사회학적 분석. 21세기사)
*Luhmann, Niklas. 1981. Politische Theorien im Wohlfahrtsstaat. Olzog(김종길 역. 2001. 복지국가의 정치이론. 일신사)

2. Models of the welfare state

*Esping-Andersen, Gøsta 1990: The Three World of Welfare Capitalism, Polity Press(especially p.21-32)
*Kaufmann, Franz-Xaver. 2013. Variationsof the Welfare State, London, Springer

3. After the ‘Golden Age’: Challenges and retrenchment of the welfare state

*Esping-Andersen, Gøsta, 1996: After the Golden Age? Welfare State Dilemmas in a Global Economy. In: Gøsta Esping-Andersen (Hg.), Welfare States in Transition. National Adaptations in Global Economies, London, Thousand Oaks, New Delhi: United Nations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1-31.
*Esping-Andersen, Gøsta, 1999: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esp. Chapter 6 and 8).

III. Future of the Welfare State

*Glennerster, Howard 2010: The Sustainability of Western Welfare
States, in: The Oxford Handbook of the Welfare Stat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659-702.

6. 사회문제론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언어
POLITICS 핵심전공 2,3학년 2학기 국강
국문요약 사회문제를 사회사적, 경제사적 시각에서 우선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의 필요성을 논한다. 이를 바탕으로 개별 사회문제(불평등, 빈곤, 가족 등)를 진단 및 평가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른다. 아울러 현재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의 근원적 속성을 알아본다.
영문요약  
강의자료 <사회문제의 이해>, 정헌주 외, 대왕사 2014, 9788945658739
<거대한 전환>, K. Polanyi, 길 2009, 9788987671314
선수 과목 사회학의 이해, 사회학이론, 사회변동론, 사회발전론
이수 후
권장과목
사회계층론, 사회인류학, 복지국가론, 비교사회학, 한국사회의 구조와 변동
최근 강의계획서


주별 학습 내용

기간 회차 학습내용 교재 활동 및 설계내용
1 08.31 - 09.06 1 음식문화연구    
2 09.07 - 09.13 1 음식문화연구의 주요 패러다임    
3 09.14 - 09.20 1 음식관행    
4 09.21 - 09.27 1 요리의 표현    
5 09.28 - 10.04 1 음식과 문명    
6 10.05 - 10.11 1 음식과 제도    
7 10.12 - 10.18 1 소비와 취향    
8 10.19 - 10.25 1     중간고사
9 10.26 - 11.01 1 국가, 민족, 음식    
10 11.02 - 11.08 1 지구화와 음식    
11 11.09 - 11.15 1 쇼핑(shopping)과 음식    
12 11.16 - 11.22 1 가정과 음식    
13 11.23 - 11.29 1 외식, 위험과 음식    
14 11.30 - 12.06 1 도서와 음식    
15 12.07 - 12.13 1 TV와 음식    
16 12.14 - 12.20 1     기말고사

 

7. 집합행동론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POLITICS 응용전공 3,4학년 2학기 조대엽 국강
국문요약 이 강좌는 유언비어, 패드, 패닉, 폭동, 재난행동, 사회운동, 혁명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집합행동 및 집합적 행위가 개인들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관계에서 어떻게 출현하는지를 탐색한다.
영문요약 This course examines how various forms of collective behavior and collective action(e.g. rumors, fads, panics, riot, behaviour in disaster, social movements, and revolutions) merge from intereaction and social relation of individuals.
강의자료 * 임희섭. 1999.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 Charles Tilly. 1995. 『동원에서 혁명으로』. 양길현 외 옮김. 서울프레스.
* 김영정 편저. 1988. 『집합행동과 사회변동』. 현암사.
* 추가 참고문헌: 강의계획서 참조.
선수 과목 사회학적 상상력, 사회학 발달사, 현대사회학이론
이수 후
권장 과목
비교사회학, 정치사회학, 사회운동조직론
기대효과 * 구조와 행위의 상호작용에 관한 사회학적 이해력(상상력) 제고
* 다양한 형태의 집합행동에서 나타나는 역동성과 힘의 관계에 대한 정치사회적적 훈련 – 기자, PD, 학자 등
최근 강의계획서

집합행동론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2015학년도 2학기

이 강좌는 집합행동(collective behavior)에 관한 사회학적 이해와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집합행동은 유언비어, 유행, 집단 히스테리, 스포츠 군중행동, 재난행동, 폭동 그리고 사회운동에서 혁명에 이르기까지 집합적 형태로 이루어진 광범한 (비)일상적, (비)조직적 행위의 사회현상을 포함한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집합행동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를 위해 우리는 집합행동연구의 대상과 방법, 시각과 이론 등을 폭넓게 학습할 것이다. 수강생들은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형태의 집합행동이 실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탐구함으로써 사회적 관계의 집합적 동학에 관한 사회학적 상상력을 기르길 바란다. 특히 집합행동과 사회변동 사이의 행위와 구조라는 보이지 않는 힘의 관계를 읽어내길 기대한다. 아울러 이 강좌는 기본적으로 사회구조와 현상에 관한 사회학적 이해력을 요구한다. 따라서 사회학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이 강좌를 권한다.

강좌운영

이 강좌는 총 2부로 구성된다. 수업의 전반부에 해당하는 <제1부>는 집합행동의 이론에 관한 강의를 중심으로 진행하며, 후반부인 <제2부>는 발표와 토론으로 수업의 내용을 채워갈 예정이다. 이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지정해준 텍스트를 미리 읽고 관련된 토론거리를 짧은 에세이 형식으로 준비해야 한다. 또한 팀발표를 준비하는 학생들은 나와 함께 주제를 선정하고, 사전에 두세 차례 만나 발표문의 내용구성과 참고자료 등에 관해 논의한다. 성숙하고 열띤 수업참여를 ‘기대’한다.

평가방법

연구설계(팀, 10%) + 발표(팀, 20%) + 수시과제(10%) + 수업 참여도(10%) + 중간ㆍ기말고사(50%) ※ 단, 예고 없는 결석, 음주나 도박 등 부적절한 사유로 4번을 초과하여 수업에 참석하지 않을 경우 F.

강의일정

<제1부>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제2부> 집합적 행위의 다양성과 동학
1 주 – 강의소개 및 일정공유 9 주 – 유언비어
2 주 – 집합행동연구의 영역과 대상 10 주 – 유행
3 주 – 집합행동의 고전사회학적 이해 11 주 – 집단 히스테리와 사회적 공포
4 주 – 집합행동연구의 접근방법(1) 12 주 – 재난행동
5 주 – 집합행동연구의 접근방법(2) 13 주 – 한국 사회운동의 집합적 행위양식
6 주 – 사회운동이론(1) 14 주 – 네트워크와 집합적 행위
7 주 – 사회운동이론(2) 15 주 – 종합토론
8 주 – 중간고사 16 주 – 기말고사

 

강의내용

제 1 주 강의소개 및 일정공유

제 2 주 집합행동연구의 영역과 대상

∥Readings∥

* 임희섭. 1999.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장.
* Locher, David A. 2002. Collective Behavior.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ch: 1.
* Smelser, Neil J. 1964. "Theoretical Issues of Scope and Problem.” Sociological Quarterly 5(2); 『사회변동과 사회운동』. 박영신 옮김(1984). 세경사. 3장.
* Blumer, Herbert. 1939. "Collective Behavior.” in Robert E. Park (ed.). An Outline of the Principles of Sociology. New York: Barnes & Nobles; 『집합행동과 사회변동』. 김영정 편저(1988). 현암사. 1장.

제 3 주 집합행동의 고전사회학적 이해

∥Readings∥

* 임희섭. 1999.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2장.
* Le Bon, Gustave. 2008. 『군중심리』. 김성균 옮김. 이레미디어.
* Tilly, Charles. 1995. 『동원에서 혁명으로』. 양길현 외 옮김. 서울프레스. 2장.
* Berk, Richard A. 1974. Collective Behavior. Dubuque, Iowa: W. C. Brown Company. ch: 3; 『집합행동과 사회변동』. 김영정 편저(1988). 현암사. 3장.

제 4 주 집합행동연구의 접근방법(1): 구조기능주의, 사회심리학

∥Readings∥

* 임희섭. 1999.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3장 & 4장.
* Staggenborg, Suzanne. 2011. Social Movement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ch: 2.
* Smelser, Neil J. 1968. "Social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of Collective Behavior.” Essays in Sociological Explanation. NJ: Prentice-Hall; 『사회변동과 사회운동』. 박영신 옮김(1984). 세경사. 4장.
* Geschwender, James A. 1968. “Explorations in the Theory of Social Movements and Revolutions.” Social Forces 47(2): 127-135; 『집합행동과 사회변동』. 김영정 편저(1988). 현암사. 4장.

제 5 주 집합행동연구의 접근방법(2): 구조적-역사적 접근, 합리적 선택이론

∥Readings∥

* 임희섭. 1999.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5장 & 6장.
* Skocpol, Theda. 1979. "Introduction: Explaining Social Revolutions.” States and Social Revolutions: A Comparative Analysis of France, Russia, and Chin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국가와 사회혁명: 혁명의 비교연구』. 한창수ㆍ김현택 옮김(1981). 까치. 1장; 『집합행동과 사회변동』. 김영정 편저(1988). 현암사. 5장.
* Jenkins, Craig J. 1983. "Why Do Peasants Rebel? Structural and Historical Theories of Modern Peasant Rebellion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8(3); 『집합행동과 사회변동』. 김영정 편저(1988). 현암사. 10장.

제 6 주 사회운동이론(1): 자원동원론과 정치과정론

∥Readings∥

* 임희섭. 1999.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7장.
* 조대엽. 1999. 『한국의 시민운동: 저항과 참여의 동학』. 나남. 3장.
* 조대엽. 2013. “사회운동과 동원의 구조: 사회운동조직과 ‘유연자발집단’.” 『한국사회의 사회운동』. 김동노 외. 다산출판사. 2장.
* Staggenborg, Suzanne. 2011. Social Movement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ch: 2.
* McCarthy, John D. and Mayer N. Zald. 1977. "Resource Mobilization and Social Movements: A Partial Theor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2(6); 『집합행동과 사회변동』. 김영정 편저(1988). 현암사. 7장.
* Tilly, Charles. 1995. 『동원에서 혁명으로』. 양길현 외 옮김. 서울프레스. 3장 & 4장.

제 7 주 사회운동이론(2): 신사회운동론과 구성주의적 접근

∥Readings∥

* 임희섭. 1999.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8장 & 9장.
* Dalton, Russell J. and Manfred Kuechler (eds.). 1996. 『새로운 사회운동의 도전』. 박형신ㆍ한상필 옮김. 한울. 3장 & 9장 & 12장.
* 신진욱. 2013. “사회운동의 문화, 정체성, 프레이밍.” 『한국사회의 사회운동』. 김동노 외. 다산출판사. 3장.
* Staggenborg, Suzanne. 2011. Social Movement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ch: 2.

제 8 주 중간고사

제 9 주 유언비어(Rumor and Communication)

∥Readings∥

* Miller, David L. 2013. Introduction to Collective Behavior and Collective Action. Long Grove, IL: Waveland Press(3rd ed.). ch: 4.
* 원우현 엮음. 1982. 『유언비어론』. 청람.
* 시미즈 이쿠타로(清水幾太郎). 2015. 『유언비어: 진실이 가려진 사회의 은밀한 속삭임, 유언비어의 사회심리학』. 이재민ㆍ오석철 옮김. 기담문고.
* 캐스 선스타인(Cass R. Sunstein). 2009. 『루머』. 이기동 옮김. 프리뷰.
* 강덕상. 2005. 『학살의 기억, 관동대지진』. 역사비평사.

제 10 주 유행(Fads and Fashion)

∥Readings∥

* Miller, David L. 2013. Introduction to Collective Behavior and Collective Action. Long Grove, IL: Waveland Press(3rd ed.). ch: 7.
* Aguirre, B. E., E. L. Quarantelli, and Jorge L. Mendoza. 1988. “The Collective Behavior of Fads: The Characteristics, Effects, and Career of Streaking.”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3: 569-584.
* 게오르그 짐멜(Georg Simmel). 2005.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김덕영ㆍ윤미애 옮김. 새물결. 3장.
* 지그문드 바우만(Zygmunt Bauman). 2013. 『유행의 시대: 유동하는 현대사회의 문화』. 윤태준 옮김. 오월의봄.
* 존 L. 캐스티(John L. Casti). 2012. 『대중의 직관』. 이현주 옮김. 반비.
□ 일시적 유행 – 허니버터칩, 의복, 전자담배, 먹는 방송, 육아 및 요리방송 등
□ 유행과 사회적 저항 – 스트리킹, 노란 리본, 70~80년대 대학문화 등

제 11 주 집단 히스테리(Mass Hysteria)와 사회적 공포(Social Pobia)

∥Readings∥

* Miller, David L. 2013. Introduction to Collective Behavior and Collective Action. Long Grove, IL: Waveland Press(3rd ed.). ch: 5 & ch: 12 & ch: 13.
* 프랭크 푸레디(Frank Furedi). 『우리는 왜 공포에 빠지는가?』. 박형신ㆍ박형진 옮김. 이학사. 1~3장.
* 니홀라스 할리스(Nicholas Halasz). 2015. 『나는 고발한다: 드레퓌스사건과 집단히스테리』. 황의방 옮김. 한길사.
* 김동춘. 2013. 『전쟁정치: 한국정치의 메커니즘과 국가폭력』. 길.
□ 전쟁과 분단의 히스테리 – 제주 4ㆍ3, 광주항쟁, 강기훈 유서대필사건 등
□ 사회적 공포와 패닉 – 마녀사냥, 메르스사태, 테러, 집단해고 등
□ 국가의 위기관리능력과 공동체적 대응 – 2014년 세월호, 2015년 메르스 등

제 12 주 재난행동(Disaster Behavior)

∥Readings∥

* Miller, David L. 2013. Introduction to Collective Behavior and Collective Action. Long Grove, IL: Waveland Press(3rd ed.). ch: 10 & 11.
* 히로시 다카시(廣瀨隆). 2011. 『원전을 멈춰라』. 김원식 옮김. 이음.
* 한정숙. 2013. “체르노빌 원전 사고: 20세기가 보내온 생명 파괴의 경고.”『역사비평』103: 199-232.
* 강윤재. 2014. “원전사고와 민주적 위험 거버넌스의 필요성.”『경제와사회』91: 12-39.
* 지주형. 2014. “세월호 참사의 정치사회학: 신자유주의의 환상과 현실.”『경제와사회』104: 14-55.
* 김종엽. 2014. “이해와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세월호 참사에 대한 몇 가지 고찰.”『경제와사회』104: 81-111.
* 김왕배. 2014. “‘트라우마’의 치유과정에 대한 사회학적 탐색과 전망”『보건과 사회과학』37: 5-24.
* 박명림. 2015. “‘세월호 정치’의 표층과 심부: 인간, 사회, 제도.”『역사비평』111: 8-36.
□ 기술재난과 위험사회의 공포 – 1986년 체르노빌 원전사고,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등
□ 국가의 위기관리능력과 공동체적 대응 – 2014년 세월호, 2015년 메르스 등

제 13 주 한국 사회운동의 집합적 행위양식(Tactical Repertoire)

∥Readings∥

* 홍성태. 2015. “역사적 사회운동의 형성과 저항주기의 궤적: 저항사건분석, 1960~1987.” 미간행 원고.
* Earl, Jennifer. 2003. “Tanks, Tear Gas, and Taxes: Toward a Theory of Movement Repression.” Sociological Theory 21(1): 44-68.
* Shin, Gi-Wook, Paul Y. Chang, Jung-Eun Lee, and Sookyoung Kim. 2011. “The Korean Democracy Movement: An Empirical Overview.” in Gi-Wook Shin and Paul Y. Chang (eds.). South Korean Social Movements: From Democracy to Civil Society. New York, NY: Routledge. ch: 2.
□ 시위양식의 확산과 변화 – 단식, 삭발, 분신, 1인시위, 삼보일배, 오체투지 등
□ 공권력의 시위규제 방식의 변화 – 최루탄, 물대포, 최루액 등

제 14 주 네트워크와 집합적 행위(Social Networks and Collective Action)

* 이항우. 2012. “네트워크 사회운동과 하향적 집합행동: 2008년 촛불집회.”『경제와사회』93: 244-274.
* 이항우. 2012. “소셜 미디어, 사회운동의 개인화, 그리고 집합 정체성 구성: 페이스북 그룹 ‘함께 점령’ 사례 분석.”『경제와사회』95: 254-287.
* 백욱인. 2012.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사회운동의 변화: 대안 공론장과 네트워크 포퓰리즘.”『동향과전망』84: 130-159.
* 송경재. 2009. “네트워크 시대의 시민운동 연구: 2008 촛불집회를 중심으로.”『현대정치연구』2(1): 55-83.
* 시위자(Writers for the 99%). 2012. 『점령하라: 99% 대 1% 월스트리트 점령 인사이드 스토리』. 임명주 옮김. 북돋움.
* 슬라보예 지젝(Slavoj Zizek) 외. 2012. 『점령하라』. 유영훈 옮김. 알에이치코리아.
* Rheingold, Howard. 2002. Smart Mobs: The Next Social Revolution. Cambridge, MA: Perseus Publishing.
* Siegel, David A. 2009. “Social Networks and Collective Action.”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3(1): 122-138.
□ 2008년 촛불집회의 네트워크와 집합적 정체성
□ 2011년 점령운동의 네트워크

제 15 주 종합토론

제 16 주 기말고사

8. 사회운동조직론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POLITICS 응용전공 3,4 학년 2학기 조대엽 국강
국문요약 이 강의는 사회운동 및 사회운동조직에 관한 사회학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사회운동에 관한 이론적 경향은 사회심리적 설명에서부터 최근의 사회구성주의적 접근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각각의 이론이나 접근법은 서로 다른 요소들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들을 종합적으로 보면, 개인의 심리적 동기라는 미시적 요소에서부터 정부 및 정치권력구조, 사회경제구조라는 거시적 요인에 이르는 복잡하고 포괄적인 요소들이 바로 사회운동에 결부되어 있다. 이러한 점은 사회운동이야말로 현대사회의 가장 사회학적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강의는 사회운동을 구성하는 다양한 사회요소들과 함께 이론적 경향들을 리뷰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자원동원과 정치과정, 운동조직 및 조직연계, 운동의 문화 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최근의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운동의 제도화와 일상화, 그리고 정치참여의 문제에 대해 토론할 것이다.
영문요약 The aim of this course is to provide sociological understandings on social movements and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Theoretical approaches on social movements are not short of variety, as they range from social psychological to social constructivist explanations. Though each theories and explanations points to varying factors as key variables, it can be argued in overall that factors at varying levels of analysis are related to social movements. In other words, micro factors such as individual psychological motivations and macro factors such as government, political power structure, and socioeconomic structures are all present in social movements. As such, social movements are the very phenomenon defining the social and the sociological. This course reviews theoretical orientations along with social factors regarding social movements. To be more specific, it is designed to capture the dialectics of resource mobilization and political processes,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al relations, and social movement cultures. Also, the discussions on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generalization of social movement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with respect to recent civil movements will take place.
강의자료 조대엽. 2007. 『한국의 사회운동과 NGO: 새로운 운동주기의 도래』 아르케.
조대엽․김철규. 2007. 『한국 시민운동의 구조와 동학』 집문당.
조대엽. 1999. 『한국의 시민운동: 참여와 저항의 동학』 나남.
임희섭. 1999.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김동노 외. 2013. 『한국사회의 사회운동』 다산출판사.
에릭 느뵈. 2015. 『사회운동: 어디에서 오고, 무엇이며, 어디로 갈까』 손영우 역. 이매진.
마누엘 카스텔. 2015. 『분노와 희망의 네트워크: 인터넷 시대의 사회운동』 김양욱 역. 한울아카데미.
랠프 달링턴. 2015. 『사회변혁적 노동조합운동』 이수현 역. 책갈피.
선수 과목  
이수 후
권장과목
 
기대효과 사회운동이 왜 발생하며, 어떻게 조직이 되고, 어떤 전략을 통해, 어떠한 행위양식이나 운동방법으로 나타나는지 이해할 수 있다. NGO나 사회운동단체 등에서 활동하고 싶은 학생들뿐만 아니라 정치나 언론 등의 영역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이론과 관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최근 강의계획서
일정 학 습 내 용
제 1 주 현대사회와 사회운동 - 시민사회와 사회운동/한국과 서구의 사회운동
제 2 주 한국 사회운동연구의 동향과 전망
제 3 주 사회운동/ 사회운동조직이란 무엇인가?
제 4 주 사회 운동의 구성요소와 분석의 수준
제 5 주 사회운동 연구의 패러다임(1): 소외와 불만/ 자원동원과 정치과정 McMichael
제 6 주 사회운동 연구의 패러다임(2): 문화비판/ 사회구성주의
제 7 주 자원동원과 정치과정:운동조직/정치적 기회구조/제도정치와 운동정치
(국가·정당·사회운동)
제 8 주 중간고사
제 9 주 운동조직 및 조직의 연계, 운동네트워크
제 10 주 사회운동과 문화(1): 운동의 프레임분석/ 인지적 실천
제 11 주 사회운동과 문화(2): 운동의 이념과 전략
제 12 주 사회운동과 문화(3): 운동의 행위양식 - 의례, 음악, 퍼포먼스
제 13 주 사회운동의 제도화, 일상화: 운동사회와 contentious politics
제 14 주 탈근대(성찰적 근대)의 사회변동과 사회운동: 제 4의 결사체와 집단지성 , 교육
제 15 주 종합토론: 한국의 사회변동과 사회운동의 전망
제 16 주 기말고사

 

9. 복지국가의 비교 사회학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POLITICS 응용전공 3,4학년 1학기 김원섭 영강
국문요약 이 강좌는 서구와 한국의 사회정책 제도와 이론에 대한 입문 강좌다. 본 강좌를 통해 사회정책의 중요한 원리를 이해하고, 복지국가의 발전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강좌의 핵심 질문은 주요 제도가 사회정책에 미치는 영향, 왜 사회정책이 국가마다 다른 지에 대한 것이다.
영문요약 The course has to give introduction to institutions and theories of the social policy in western world and Korea. It provides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learn principles and reforms of key social policy areas. In addition, it pays attention to differences of developed welfare states. This course focuses on following questions: How work the key institutions of social policies? How and why welfare states differ markedly from nation to nation?
강의자료 Preliminary Reading
Hudson, J., Kuehner, S., Lowe, S. 2008. The short guide to social policy. Bristol. Policy Press.
Esping-Andersen, Gøsta, 1990: The Three World of Welfare Capitalism, Polity Press
Kaufmann, Franz-Xaver. 2012. National Welfare State Traditions and the European Social Model. in: Kaufmann, Franz-Xaver. 2012. European Foundations of the Welfare state. New York. Berghahn: 226-247.
Hill, Michael, 2006: Social Policy in the Modern World, Wiley-Blackwell
김원섭, 2011, 한국 복지국가 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세아 연구 54: 186-215.
Hill, Michael, 2006: Social Policy in the Modern World, Wiley-Blackwell
김원섭, 2011, 한국 복지국가 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세아 연구 54: 186-215.
이인제 외, 2010, 사회보장론, 3판, 나남
Supplementary Reading
가스통 림링거. 1991. <사회복지의 사상과 역사>, 한울.
Kaufmann, Franz-Xaver. 2002. Sozialpolitik und Sozialstaat. Leske+Budrich(정연택 역. 2004. 사회정책과 사회국가, 사회학적 분석. 21세기사)
______________. 2012. European Foundations of the Welfare state. New York. Berghahn.
______________. 2013. Variationsof the Welfare State, London, Springer
Luhmann, Niklas. 1981. Politische Theorien im Wohlfahrtsstaat. Olzog(김종길 역. 2001. 복지국가의 정치이론. 일신사).
Pierson, C. and Castles, F., 2006: Welfare State, Reader, 2.edition, Polity.
선수 과목  
기대효과  
최근 강의계획서

Korea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ology: Spring 2016
Comparative Sociology of the Welfare state


Teacher Responsible: Prof. Dr. Kim, Won Sub
E-mail: kimwonsub2@korea.ac.kr
Office hours: 5:00-6:00 pm, Tuesday (교양관 509, Kyoyangkwan 509)
Lectures: Tuesday and Thursday 03:30 – 04:45 pm


The course has to give introduction to institutions and theories of the social policy in western world and Korea. It provides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learn principles and reforms of key social policy areas. In addition, it pays attention to differences of developed welfare states. This course focuses on following questions: How work the key institutions of social policies? How and why welfare states differ markedly from nation to nation?

Report

All students have to give a presentation on a topic (about 7 min.) and submit one report (about 4 pages, A4 size).

Tests

Your final grade for the course will be based on the following requirements:
Presentation and Report 30 points / Two exams 60 points/
Participation in classes 10 points / Total 100 points

Preliminary Reading

김원섭. 2007. 복지국가란 무엇인가? 시민권 이론의 관점에서. 사회보장연구 23: 139-166.
김원섭. 2012. 다중맥락사회에서 사회통합과 공공성. 한국사회 13: 123-158.
Pierson, C. 2007: Beyond the Welfare State? 3. edition, Polity Press
Kaufmann, Franz-Xaver. 2013. 2. Theoretical Foundations, in: Kaufmann, Franz-Xaver.
Variationsof the Welfare State, London, Springer: 28-43
Supplementary Reading
가스통 림링거. 1991. <사회복지의 사상과 역사>, 한울.
Kaufmann, Franz-Xaver. 2002. Sozialpolitik und Sozialstaat. Leske+Budrich(정연택 역. 2004. 사회정책과 사회국가, 사회학적 분석. 21세기사)
______________. 2012. European Foundations of the Welfare state. New York. Berghahn.
______________. 2013. Variationsof the Welfare State, London, Springer Luhmann, Niklas. 1981. Politische Theorien im Wohlfahrtsstaat. Olzog(김종길 역. 2001. 복지국가의 정치이론. 일신사).
Pierson, C. and Castles, F., 2006: Welfare State, Reader, 2.edition, Polity.

Reading list

I. Introduction: Role of comparative study

May, M., 2003: The Role of Comparative Study, in: Alcock, P. et al., 2003: The Student’s Companion to Social Policy, Oxford, Blackwell: 20-26.

II. Theories of comparative social policy

2. Theories of the comparative social policy

Cousins, Mel, 2005: 2. Welfare State Theories, in: Cousins, Mel, 2005, European Welfare States, London, Sage: 19-40.

3. Typology of the Welfare State

Esping-Andersen, Gøsta, 1990: The Three World of Welfare Capitalism, Polity Press
Esping-Andersen, Gösta, 1999: Comparative Welfare Regime Re-examined, in: E.A, Gösta, 1999: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Oxford, Ch.5.
Kaufmann, Franz-Xaver. 2012. National Welfare State Traditions and the European Social Model. in: Kaufmann, Franz-Xaver. 2012. European Foundations of the Welfare state. New York. Berghahn: 226-247.

III. Key Policy Areas

4. Social Security

Hill, Michael, 2006: Social Policy in the Modern World, Wiley-Blackwell, Chapter 4.
Myles, John and Pierson, Paul, 2001: The Comparative Political Economy of Pension Reform, in: Paul Pierson, 2001(ed.), The New Politics of the Welfare Stat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05-333.

5. Health Services

May, M. 2006: Employment Policy, in: Hill, Michael, 2006: Social Policy in the Modern World, Wiley-Blackwell, Chapter 6

6. Employment policy

May, M., 2006: Employment Policy, in: Hill, Michael, 2006: Social Policy in the Modern World, Wiley-Blackwell, Chapter 5

IV. Final Discussion: A Welfare State in Korea?

Kim, W. S., 2014, Theories on the Korean Social Policy, manuscript
Kwon, H., 2009: Rescaling the Developmental Welfare State? in: Alcock, P. and Craig, G.(ed.), 2009: International Social Policy, Palgrave

10. 사회문제와 사회정책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언어
POLITICS 응용전공 3,4학년 2학기 국강
국문요약 사회문제의 주제와 쟁점, 이론들을 사회학적으로 이해하고, 한국 및 주요 국가들의 다양한 사회문제의 원인, 과정, 결과를 연구하고, 사회문제의 개선과 해결, 예방을 위한 사회정책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요한 사회학적 연구와 이론 소개, 오늘날 복잡한 사회 환경을 더 잘 이해하고 덜 잘 대응하고 개입하기 위한 사회정책적 방안을 검토한다.
영문요약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major subjects and issues of social problems in Korea and some other advanced countries. Also, this course aims to examine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sociologists use to understand social problems including their origins and proposed solutions, especially national social policies.
강의자료 D. Stanley Eitzen, Maxine Baca Zinn, Kelly Eitzen Smith, 2012 Social Problems (12th Edition), Pearson
James W. Coleman, Harold R. Kerbo, 2009 Social Problems (10th edition) Vango books
D. Stanley Eitzen (2010).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Lessons from Other Societies, 5th edition.
이창언 조희연 외 『사회문제를 보는 새로운 눈』 2013 선인
원석조 2013, 『사회문제론』 (제4판) 양서원
이정우‧이창곤 외 『불평등 한국, 복지국가를 꿈꾸다』 2015, 후마니타스
Donald E. Chambers, Jane Frances Bonk, Social Policy and Social Programs: A Method for the Practical Public Policy Analyst (6th Edition) 2012 Pearson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각호, 『국제사회보장동향』 각호, 관련 자료
기대효과 - 한국의 다양한 사회문제, 특히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론적, 실증적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문제를 완화 또는 해결하기 위한 한국 및 선진국의 사회정책적 방안에 대한 지식과 사회정책에 대해 알게 됨
- 공무원, 사회과 교사, 언론인, 정치인, 사회활동가 등의 직업에 도움에 될 수 지식을 얻음
최근 강의계획서

2016-1학기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SOCI494 <사회문제와 사회정책 Social Problems and Social Policy>

월‧수3-4교시(12-1:15), 법신관 208호
강사 김인춘(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 연구교수)
010-2309-9865/ ickim95@hotmail.com



‣ 수업목표:

- 사회문제의 주제와 쟁점, 이론들을 사회학적으로 이해하고,
- 한국 및 주요 국가들의 다양한 사회문제의 원인, 과정, 결과를 살펴보고,
- 사회문제의 개선과 해결방안, 예방을 위한 사회정책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목표로 함
- 개인적 곤란이나 사회적 이슈가 어떻게 사회문제가 되는가?
- 어떻게 다양한 ‘claims makers’들이 사람들로 하여금 사회문제를 보고 반응하게 만드는가?
- 다른 나라들의 사회문제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 나라에 사회적 쟁점이 사회문제가 되는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요인들을 살펴보고,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다양한 사회정책을 검토한다.

‣ 수업계획:

1주 3/2 수업소개

2주 3/7,9 사회문제와 사회정책

- 사회문제의 개념, 기본적 이해
- 사회정책의 이해

이창언 외 2013, Part 1 ‘사회문제의 이해’
원석조 2002, 제1장 ‘사회문제의 개념’/ 제2장 ‘사회문제의 이론적 관점’
로버트 핑커, 김형식,박순우 역 『사회이론과 사회정책』 2000, 인간과복지

(Eitzen 외 2012, Ch. 1 ‘The Sociological Approach to Social Problems’
Coleman 외 2009, Ch. 1 ‘Sociology and Social Problems’)

3주 3/14,16 사회정책과 복지국가

- 사회정책, 복지국가와 사회국가
- 소득보장정책, 사회서비스정책

김원섭 “한국 복지국가 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아세아연구』아세아문제연구소 고려대 2011
Franz-Xaver Kaufmann Thinking about Social Policy: The German Tradition, 1. ‘Introduction’, 2. Social Policy as Mediation between “State” and “Civil Society” 2013 Springer
정원오 『복지 국가』 책세상 2010

(박태규 외 『한국의 제3섹터』 삼성경제연구소 2016
최성은, 선우덕, 구인회, 김인춘 외 『선진4국과 우리나라 사회보장체계 비교연구』 2011,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주 3/21,23 소득 불평등과 빈곤 문제

- 불평등 문제
- 소득 불평등 문제
- 빈곤문제와 공공부조정책

원석조 2013 제11장 ‘소득의 불평등’, 제12장 ‘빈곤’
이창언 외 Part 2, 04 ‘빈곤 : 양극화와 사회안전망’
이정우 외 2015, 8장 김낙년 “한국의 소득 불평등”

(토마 피케티 『21세기 자본』
Eitzen 외 2012 Part 3 (Problems of Inequality), 7 Poverty
Coleman 외 2009 7 ‘The Poor’)

5주 3/28,30 노동문제와 노동정책

- 고용과 노동시장문제
- 실업문제와 실업보험

이창언 외 Part 2, 02 ‘노동 : 21세기 한국사회에서 노동자로 살아남기
원석조 2013 제16장 ‘노동문제’
이정우 외 2015, 9장 김유선 “한국의 임금불평등”, 11장 이병훈 “노동시장 개혁 없이 불평등 해결 없다”

(Eitzen 외 Part 5(Institutional Problems), 14 ‘The Economy and Work’)

6주 4/4,6 주거문제, 여가 및 문화정책

- 주거문제와 주거정책, 주거수당
- 소비문화, 여가와 문화정책

이정우 외 2015, 19장 변창흠 “기로에 선 주거불평등 문제와 개선 과제”
이창언 외 Part 5, 23 “소비문화와 여가: 자본의 유혹과 계층분리”

7주 4/11 보건의료 문제와 정책

- 보건의료문제
- 알콜 및 약물중독/자살, 스트레스
- 공적 의료보험정책

이창언 외 Part 5, 22 “건강불평등: 의료이용과 의료산업의 불평등”
원석조 17장 보건의료문제

(신현웅,여지영 2015, “건강보험정책의 현황과 과제”『보건복지포럼』제219호)

4/13 선거임시공휴일

8주 4/18 범죄와 일탈, 폭력문제

원석조 제2부 4장 일탈행위의 이론, 5장 범죄, 6장 청소년비행, 7장 성매매
8장 정신질환, 9장 약물남용, 10장 가정폭력‧성폭력‧데이트폭력

4/20 시험기간 휴강

4/25 중간 paper 제출

(cover page 없이 본문 5 pages(참고문헌 포함), font 10, 줄간격 160)

9주 4/27 차별과 사회문제

섹슈얼리티, 인종 및 다문화 문제
젠더불평등

이창언 외 Part 4 차별과 사회문제, 15.여성, 16.다문화, 17.소수자

10주 5/2,4 세대와 사회문제, 저출산, 인구문제

- 세대문제
- 인구문제

이창언 외, Part 3 세대와 사회문제 11.청소년, 12.청년과 대학생, 13.중년, 14.노인
원석조, 18장 ‘인구문제’

(장영식 2010『한국의 인구정책 동향과 전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주 5/9,11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 아동 및 아동복지
- 청소년복지
- 아동보육, 아동돌봄

김미숙 『아동복지정책 유형과 효과성 국제비교』 201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송다영 윤홍식, 김인숙 『가족정책 - 복지국가의 새로운 전망』2011, 공동체

12주 5/16,18 교육문제와 교육정책

- 한국의 교육문제
- 사회정책으로서의 교육정책

이창언 외 2013, 05 “교육: 교육문제의 핵심, 한국의 대학”
이정우 외 2015 13장 신명호 “교육은 불평등을 치유할 수 있는가”
원석조 2002, 15장 ‘교육문제’

(Eitzen 외 Ch.16 ‘Education’
Coleman, 3. ‘Problems of Education’)

13주 5/23,25 가족문제와 가족정책

- 한국의 가족변화와 가족문제
- 사회정책으로서의 가족정책

원석조 2002, 14장 ‘가족문제’
송다영 윤홍식, 김인숙 『가족정책 - 복지국가의 새로운 전망』2011, 공동체

(김혜영『가족관련 가치 및 의식의 변화와 가족의 미래』2012,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정경희, 남상호『가족구조 변화와 정책적 함의: 1인가구 증가현상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201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Eitzen 외 Ch.15 ‘Families’
Coleman, 2. ‘Problems of the Family’)

14주 5/30,6/1 노인문제, 연금정책, 노인복지정책

- 노령화와 노인복지정책 – 주거정책, 케어정책
- 주요국의 연금정책

현외성 『복지국가의 공적연금정책과 개혁 - 21C 복지국가의 변화와 고령자복지정책』2010, 공동체
유현경,김원섭 “한국 공적연금제도의 진화와 전환”『한국사회정책』제22집 제2호 2015

(박현식, 조성희, 김욱 『노인복지론』 2014, 양서원)

6/6 현충일 휴강

6/8 기말 paper 2 제출

(cover page 없이 본문 5 pages(참고문헌 포함), font 10, 줄간격 160)

15주 6/8 환경 및 안전문제

- 환경 및 안전문제
- 도시문제, 농촌문제, 농업과 먹을거리

원석조 19장 도시문제, 20장 환경문제
이창언 외 18장 환경: 환경문제와 지속가능발전

(Coleman, 16.Environment)

16주 6/13,15 세계화 문제, 사회경제모델과 사회정책, 수업 마무리

- 세계화와 불평등 문제
-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사회경제모델 – 사회정책적 과제와 전망

이정우 외 2015, 이종오 “사회권과 민주주의”, 김형기 “불평등 해소를 위한 경제 모델”,
박상훈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정치의 역할”

라메쉬 미쉬라, 이혁구 역 『지구적 사회정책을 향하여 - 세계화와 복지국가의 위기』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2
이성균 『세계화와 소득불평등』 집문당 2007년
조지프 스티글리츠,이순희 역『불평등의 대가-분열된 사회는 왜 위험한가』열린책들 2013
Joseph E. Stiglitz, The Great Divide: Unequal Societies and What We Can Do About Them 2015

(김인춘 2015, “자본주의 다양성과 유로체제 : 신자유주의적 유럽통합의 경제사회적 결과”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 2007 “자본주의 다양성과 한국의 새로운 발전모델 : 민주적 코포라티즘의 조건”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Coleman 17.The Global Divide: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 Inequality, 18.Warfare, Terrorism, and International Conflict)

6/20 기말 paper 2 제출

(cover page 없이 본문 5 pages(참고문헌 포함), font 10, 줄간격 160)

‣ 참고문헌

로버트 핑커, 김형식, 박순우 역 『사회이론과 사회정책』 (Pinker, Robert A Social theory & social policy) 인간과복지, 2000
이창언 조희연 외 『사회문제를 보는 새로운 눈』 2013 선인
원석조 2013, 『사회문제론』 (제4판) 양서원
이정우‧이창곤 외 『불평등 한국, 복지국가를 꿈꾸다』 2015, 후마니타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각호, 『국제사회보장동향』 각호, 관련 자료
D. Stanley Eitzen, Maxine Baca Zinn, Kelly Eitzen Smith, 2012 Social Problems (12th Edition), Pearson
James W. Coleman, Harold R. Kerbo, 2006 Social Problems (10th edition) Vango books
D. Stanley Eitzen (2010).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Lessons from Other Societies, 5th edition.
Donald E. Chambers, Jane Frances Bonk, Social Policy and Social Programs: A Method for the Practical Public Policy Analyst (6th Edition) 2012 Pearson
Robert H. Lauer, Jeanette C. Lauer, 2013, Social Problems and the Quality of Life, 13th Edition, McGraw-Hill Education
Jeffrey Reiman, Paul Leighton, 2012, The Rich Get Richer and the Poor Get Prison: Ideology, Class, and Criminal Justice 10th Edition, Routledge

‣ 평가 기준

중간 paper 30 %/ 기말 paper 1 30 %/ 기말 paper 2 30 %/ 출석 및 수업참여도 10%
11. 빈곤과 빈곤정책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POLITICS 응용전공 3,4학년 1학기 김원섭 국강
국문요약 이 강의는 빈곤문제의 정의, 측정, 그리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빈곤문제의 원인과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을 소개한다. 둘째, 서구 국가들에서 빈곤 문제의 추이와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국제비교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셋째, 한국의 빈곤문제 추이의 특징을 파악한다. 넷째, 한국 빈곤 문제의 구조를 취약 집단별로 파악한다. 이어서 한국의 빈곤정책의 제도적 틀과 변화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영문요약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bout theories of poverty and poverty policy. First, it introduces the theories for measuring extent and courses of the poverty. Second, it discusses the changes of the poverty and poverty in developed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ternational comparison. Third, it explores the structure of the poverty focused on problem groups such as children, elderly, and minorities in Korea. Fourth, it discusses the features of trends of the poverty in Korea. Furthermore, it critically explores the institutions and their implementations of the poverty policy in Korea.
강의자료  
선수 과목 복지사회학, 사회문제와 사회정책, 복지국가의 비교사회학
기대효과 사회문제이해
최근 강의계획서

◆학습계획◆

▷ 과목개요

이 강의는 빈곤문제의 정의, 측정, 그리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빈곤문제의 원인과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을 소개한다. 둘째, 서구 국가들에서 빈곤 문제의 추이와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국제비교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셋째, 한국의 빈곤문제 추이의 특징을 파악한다. 넷째, 한국 빈곤 문제의 구조를 취약 집단별로 파악한다. 이어서 한국의 빈곤정책의 제도적 틀과 변화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 학습목표

빈곤문제에 관한 이론적 개괄 및 다양한 정책적 대응의 사례를 살핌으로써, 빈곤에 대한 제도적 접근 능력을 키운다.

▷ 추천 선수과목 및 수강요건

복지사회학

▷ 수업자료(교재)

Katz, M. 1990. The Understanding Poverty. Pantheon.
Coudouel et al. (2002), Poverty Measures and Analysis, in the PRSPSourcebook, World Bank, Washington D.C.
Thomas Bahle u.a., 2010, Social assistance, in: F. Castles u.a. (Hg.), Oxford Handbook of the Welfare State, OUP, S. 448-461
Maria Cancian and Sheldon Danziger, (eds). 2009. Changing Poverty, Changing Policies, Russell Sage Foundation
이두호 외, 1991, <빈곤론>, 나남.
가스통 림링거. 1991. <사회복지의 사상과 역사>, 한울.
구인회. 2006. <한국의 소득불평등과 빈곤: 소득분배 약화와 사회보장정책의 과제>, 서울대학교출판부.

▷ 과제물

발표 및 레포트

▷ 주별학습내용

기간 회차 학습내용 교재 활동 및 설계내용
1   1 - 2 빈곤 문제의 정의    
2   3 - 4 빈곤 문제의 사회적 기원    
3   5 - 6 빈곤의 측정(1)    
4   7 - 8 빈곤의 측정(2)    
5   9 - 10 빈곤 대응의 비교사회학(1)    
6   11 - 12 빈곤 대응의 비교사회학(2)    
7   13 - 14 복지국가 모델과 빈곤정책    
8   15 - 16 요약과 중간고사    
9   17 - 18 한국 빈곤 문제의 기원    
10   19 - 20 한국 빈곤 문제 대응의 정책적 사례(1)    
11   21 - 22 한국 빈곤 문제 대응의 정책적 사례(2)    
12   23 - 24 한국 빈곤 문제 대응의 정책적 사례(3)    
13   25 - 26 한국 빈곤 문제의 구조    
14   27 - 28 한국 빈곤 정책의 제도적 틀    
15   29 - 30 한국 빈곤 문제의 변화와 미래    
16   31 - 32 요약과 기말고사    

 

12. 실업과 고용정책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POLITICS 응용전공 3,4 학년 2학기 김원섭 국강
국문요약 이 강의는 실업과 고용정책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천적 이해를 높이는 데 목적을 둔다. 첫째. 노동시장과 고용정책에 대한 이론을 파악한다. 둘째, 서구의 노동시장의 변화와 노동시장정책의 현황을 비판적으로 국제비교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셋째, 한국의 노동시장의 변화의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이어서 한국의 고용정책의 제도적 틀과 성과를 고찰하고 이의 정책적 대안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영문요약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bout theories and practices of employment and employment policy. Firstly, it discusses the theories on the labor market and the employment policy. Secondly, it discusses the changes of the labor market and labor market policy in developed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ternational comparison. Thirdly, it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 of the labor market in Korea. Furthermore, it critically explores the institutions and their implementations of the employment policy in Korea. It also discusses about the political alternatives for the employment policy in Korea.
강의자료 Schmid, Günther and Jacqueline O’Reilly, Klaus Schömann (eds.) 1996, International Handbook of Labour Market Policy and Evaluation, Cheltenham: Edward Elgar, Schmid, Günther, 1994, Labor Market Institutions in Europe. A Socioeconomic Evaluation of Performance, Armonk, New York 1994, M. E. Sharpe. Jaap de Koning, Hugh Mosley (eds.), 2001, Labour Market Policy and Unemployment: Impact and Process Evaluations in Selected European Countries, Cheltenham 2001: Edward Elgar, pp. 1-18.
최근 강의계획서

SOC ****

실업과 고용정책(가안)

강의 목표

이 강의는 실업과 고용정책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천적 이해를 높이는 데 목적을 둔다. 첫째. 노동시장과 고용정책에 대한 이론을 파악한다. 둘째, 서구의 노동시장의 변화와 노동시장정책의 현황을 비판적으로 국제비교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셋째, 한국의 노동시장의 변화의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이어서 한국의 고용정책의 제도적 틀과 성과를 고찰하고 이의 정책적 대안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참고문헌

Schmid, Günther and Jacqueline O’Reilly, Klaus Schömann (eds.) 1996, International Handbook of Labour Market Policy and Evaluation, Cheltenham: Edward Elgar
Schmid, Günther, 1994, Labor Market Institutions in Europe. A Socioeconomic Evaluation of Performance, Armonk, New York 1994, M. E. Sharpe.
Jaap de Koning, Hugh Mosley (eds.), 2001, Labour Market Policy and Unemployment: Impact and Process Evaluations in Selected European Countries, Cheltenham 2001: Edward Elgar, pp. 1-18.

I. 노동시장과 고용정책에 관한 이론

Armingeon, Klaus 1997: Political responses to raising unemployment. The role of globalisation, DVPW Kongress, Bamberg.
Bjorklund, A. ef a/. (eds.), 1991, Labour Market Policy and Unemployment Insurance, FIEF Studies in Labour Market and Economic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II. 해외의 고용레짐과 고용정책

Barrell, , R. (ed.), 1994, The UK Labor Market, Cambridge, Cambridge Press.
Bean, C., Layard, R. and Nickell, S., “The rise in unemployment: a multi-country study”,Economica, Vol. 53, No. 2, 1986.
Esping-Andersen, G. 1990, The Three Worlds of the Welfare Capitalis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Gangl, Markus 2003: Unemployment Dynamics in the nited States and West Germany, Heidelberg, Physica-Verlag.
Henning Jørgensen, Per Kongshøj Madsen (eds.), Flexicurity and Beyond. Finding a new agenda for the European Social Model. Copenhagen: DJØF Publishing 2007, pp. 39-66
Jochem, Sven 1998: The Social Democratic Full-Employment Model in Transition, ,Paper at the workshop " Social Democratic Parties & Welfare State Retrenchment" at the 26th ECPR Joint Session of Workshops 23th to 28th 03.1998, University of Warwick.
Peter Auer und Bernard Gazier (Hrsg.), The Future of Work, Employment and Social Protection, Geneva, International Institute for Labour Studies, 2002, 63-82.
Riphahn, Regina T., Dennis J. Snower, Klaus F. Zimmermann(Ed.) 2013, Employment Policy in Transition: The Lessons of German Integration for the Labor Market, springer
Ohman, Berndt, 1974, ILO and Labor Market Policy since the Second World War, Stockholm, Bokforlaget Prisma
Schmid, Günther and Bernard Gazier), 2002, The Dynamics of Full Employment. Social Integration Through Transitional Labour Markets, Cheltenham, UK und Northampton, Edward Elgar

III. 한국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

김성중, 성제환, 2005, 한국의 고용정책, 노동연구원
허재준, 안상훈, 2011, 고용주도형 복지전량, 노동연구원
 
13. 법과 사회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담당교수 언어
POLITICS 응용전공 3,4학년 2학기 정일준 영강
국문요약 이 과목은 법학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법과 사회에 대한 기초적인 소개를 목표로 한다. 법과 사회를 다루는 사회학이론, 법 집행, 법과 사회통제, 법과 사회갈등, 법과 사회변동, 그리고 직업으로서의 법 등의 주제를 다룬다.
영문요약 This is an introductory course to Law & Society. It covers such topics as Theories of Law & Society, Law at Work, Law & Social Control, Law & Social Conflict, Law & Social Change and Law as a Profession.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issues that have preoccupied sociologists of law at formative stages and that continue to be controversial in contemporary scholars.
This course consists of lectures, watching films, discussions and students’ presentation on various topics of their own choosing.
강의자료 * 기본 참고문헌: Sutton, John R., Law/Society: Origins, Interactions, and Change, Pine Forge Press, 2001.
* 심화 참고문헌: Deflem, Mathieu, Sociology of Law: Visions of a Scholarly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선수 과목  
이수 후
권장과목
 
기대효과 법학대학원 진학을 염두에 둔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된 과목이다.
법과 사회의 관계에 관심을 가진 일반학생들도 수강할 수 있다.
최근 강의계획서
Korea University Fall 2014
SOCI 464. Sociology of Law
Class Hours: 9:00-10:15, Mon/Wed 1
Class Room:
Office: Asiatic Research Institute Bl. #204
Office Hours: After the class or by appointment
Instructer: Chung, Il Joon
E-mail: ijchung@korea.ac.kr
Telephone: 02-3290-2083
Course Objectives

This is an introductory course to Law & Society. It covers such topics as Theories of Law & Society, Law at Work, Law & Social Control, Law & Social Conflict, Law & Social Change and Law as a Profession.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issues that have preoccupied sociologists of law at formative stages and that continue to be controversial in contemporary scholars.

Readings

Textbooks

● Sutton, John R., Law/Society: Origins, Interactions, and Change, Pine Forge Press, 2001.

Recommended books

○ Deflem, Mathieu, Sociology of Law: Visions of a Scholarly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Grading Policy
Attendance & Participation in class discussions 20%
Reflection Paper 30% (3 X 10%)
Midterm & Final Exam 30% (2 X 15%)
Presentation & Final Paper 20%
Course Schedule

1st Week

9/ 1 Introduction: What is Law? & What is Society?

9/ 3 What is the Sociology of Law? (1)
Sutton: Chap. 1 pp. 1-22.

2nd Week

9/10 What is the Sociology of Law? (2)
Sutton: Chap. 1 pp. 1-22.

3rd Week

9/15 Theories of Law & Society I: Durkheim 1
Sutton: Chap. 2 pp. 25-60.

9/17 Theories of Law & Society II: Durkheim 2
Sutton: Chap. 2 pp. 25-60.

4th Week

9/22 Theories of Law & Society III: Marx 1
Sutton: Chap. 3 pp. 61-98.

9/24 Theories of Law & Society IV: Marx 2
Sutton: Chap. 3 pp. 61-98.

5th Week

9/29 Theories of Law & Society V: Weber 1
Sutton: Chap. 4 pp. 99-132.

10/ 1 Theories of Law & Society VI: Weber 2
Sutton: Chap. 4 pp. 99-132.

6th Week

10/ 6 Legal Action I: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1
Sutton: Chap. 7 pp. 185-220.

10/ 8 Legal Action II: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2
Sutton: Chap. 7 pp. 185-220.

7th Week

10/13 *Watching Film 1: “Twelve Angry Men”

10/15 Summary

8th Week

10/20 Mid Term Exam

9th Week

10/27 Law and Social Control I

10/29 Law and Social Control II

10th Week

11/ 3 Law and Social Conflict I

11/ 5 Law and Social Conflict II
*Watching Film 2: “Beautiful Youth Chun Taeil”

11th Week

11/10 Law and Social Change I

11/12 Law and Social Change II
*Watching Film 3: Anthony Lewis, “Gideon’s Trumpet”

12th Week

11/17 Legal Profession I
Sutton: Chap. 8 pp. 223-252.

11/19 Legal Profession II
*Special Lecture

13th Week

11/24 Presentation I

11/26 Presentation II

14th Week

12/ 1 Presentation III

12/ 3 Presentation IV

15th Week

12/ 8 Presentation V

12/10 Presentation VI

Final Paper Due

16th Week

12/15 Final Exam

 

14. 범죄사회학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언어
POLITICS 응용전공 3,4학년 2학기 국강
국문요약 범죄와 일탈은 사회적 진공 속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본 강의는 범죄 및 일탈에 관한 사회학 이론을 통해 범죄의 사회적 성격을 이해하는 동시에 우리나라 범죄의 특성을 알아보는 과목이다. 본 강의는 일탈/범죄행위에 대한 연구 중에서 지난 200여 년간 사회에서 범죄/일탈 행위를 설명하기 위해서 고안된 일탈/범죄학 이론(고전이론부터 현대이론까지)을 소개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범죄학의 의의, 범죄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범죄를 설명하는 다양한 범죄학이론의 전제와 가정 그리고 이론의 현실 적합성과 이론이 가졌던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범죄현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원인을 다양한 이론적 근거 속에서 세밀하게 바라보는 혜안을 갖추고자 한다.
영문요약 In this course we aim to provide a sociological introduction to criminology. Crime is a complex phenomenon and it is a truly sociological concept. It does not happen in a societal vacuum. This course offers a sociological view of crime and deviance and tries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as well. From its origins in the 19th century, scholars have probed how the causes of criminal conduct might reside in our bodies(biological), minds(psychological), and social relationships(sociological). This course covers a variety of theories and explores the nature and extent of crime.
강의자료 With a sociological orientation, it covers main theoretical perspectives on crime causation and their societal implications. Obviously,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criminological theory requires us to consider the social context in which ideas are formulated, published, and accepted as viable. Throughout this, this course seeks to develop a sociological framework for examining crime.
J. Robert Lilly, Francis T. Cullen, Richard A. Ball 저/이순래 외 역(2015). 『범죄학 이론: 사회적 배경과 결과물』, 박영사
George B. Vold, Thomas J. Bernad, and Jeffrey B. Snipes 저/이순래 외 역(2012). Vold의 이론범죄학, 그린출판사
김준호 외 (2009). 『청소년 비행론』. 청목출판사.
박철현 (2010). 『사회문제론』. 박영사.
Barlow, Hugh D. and David Kauzlarich. 2010. Explaining Crime: A Primer in Criminological Theor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Hayward, Keith, Shadd Maruna, and Jayne Mooney. 2010. Fifty Key Thinkers in Criminology. Routeledge.
Lilly, J. Robert, Francis T. Cullen and Richard A. Ball. 2010. Criminological Theory: Context and Consequences. Sage Publications, Inc.
Burke, Roger Hopkins. 2009. An Introduction to Criminological Theory 3rd Edition. Willan Publishing.
Krohn, Marvin D., Alan J. Lizotte and Gina Penly Hall. 2009. Handbook on Crime and Deviance. Springer.
Newburn, Tim. 2009. Key Readings in Criminology. Willan Publishing.
Hickey, Thomas J. 2008. Taking Sides: Clashing Views in Crime and Criminology 8th Ed. McGraw-Hill Higher Education.
Maguire, Mike, Rod Morgan and Robert Reiner. 2007. The Oxford Handbook of Criminology 4th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Marsh, Ian(Eds.). 2006. Theories of Crime. Routledge.
Tierney, John. 2006. Criminology: Theory and Context 2nd Edition. Longman.
McGuire, James. 2004. Understanding psychology and crime. Open University Press: McGraw-Hill Education.
Cullen, Francis and Robert Agnew. 2003. Criminological Theory: Past to Present Essential Readings, 3rd Edition. Roxbury Publishing.
Jewkes, Yvonne and Gayle Letherby. 2002. Criminology: A Reader. SAGE Publications.
Mosher, Clayton J., Terance D. Miethe, and Dretha M. Phillips. The Mismeasure of Crime. Sage
Publications, 2002.
Lanier, Mark M. and Stuart Henry. 1998. Essential Criminology. Westview.
선수과목  
이수 후
권장과목
 
기대효과 사회문제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얻을 수 있다. 범죄와 그에 대한 설명(이론), 그리고 그것의 결과인 사회의 대응(정책)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청소년비행이나 형사정책등과 같은 정책입안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관련 직업군은 범죄나 비행과 관련된 검찰/경찰, 범죄(형사정책)연구원, 교정직 공무원, 보호관찰관, 소년사법(Juvenile Justice) 전문가, 청소년비행 관련 직종 등이라 할 수 있다.
최근 강의계획서

20**년 *학기 범죄사회학(SOCI466(00)) 강의계획서

교과목명 범죄사회학(SOCI466(00))
담 당 장안식 (ansik@korea.ac.kr , 010-2501-9114)
강의시간 월·금 1교시(9:00~10:15)
면담시간 강의시간 전후(사전약속)
주 교 재 George B. Vold, Thomas J. Bernad, and Jeffrey B. Snipes 저/이순래 외 역(2012).
Vold의 이론범죄학, 그린출판사
참고문헌
김준호 외 (2009). 『청소년 비행론』. 청목출판사.

박철현 (2010). 『사회문제론』. 박영사.

Wortley, Richard. 2011. Psychological Criminology: An integrative approach. Routledge.

Barlow, Hugh D. and David Kauzlarich. 2010. Explaining Crime: A Primer in Criminological Theor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Hayward, Keith, Shadd Maruna, and Jayne Mooney. 2010. Fifty Key Thinkers in Criminology. Routeledge.

Burke, Roger Hopkins. 2009. An Introduction to Criminological Theory 3rd Edition. Willan Publishing.

 

15. 북한사회의 이해
분류 트랙과 과목특성 이수구분 권장 이수학기 언어
POLITICS 응용전공 3,4학년 1학기 국강
국문요약 북한사회의 이해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북한체제의 현상이나 탈북자들이 말하는 비밀스러운 북한의 이면을 소개하는 것을 지양한다. 북한사회의 이해는 비교사회주의적 관점에서 북한체제의 특성을 해부하고, 북한현상에 대한 사회학적 시각의 정립을 통해 보다 명확한 현상분석능력의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수업을 통해 ‘엽기적인 나라 북한’이 아닌 사회주의 체제로서의 북한과 그 한계를 인식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요약 The course "Understanding North Korean Society" avoids introducing phenomena of the North Korean system that attracts people's interests and the hidden side of secretive state North Korea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s speak about.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improve the analytical skills on different phenomena by dissecting the nature of North Korean system from comparative sociological perspective and by establishing a sociological view of North Korea phenomenon. Upon completion of this course, you will be expected to be able to perceive North Korea, not as a "bizarre state" but as a socialist state, and its limits.
강의자료 * 기본 참고문헌:
조한범 외, 「지속가능한 통일론의 모색」한울, 2014
조한범 외, 「북한사회 위기구조와 사회변동 전망: 비교사회론적 관점」통일연구원, 2013
조한범 외,「정치․경제․사회분야 통일비용․편익 연구」통일연구원, 2013.
* 심화 참고문헌 및 최근 연구동향
*조한범, “북한사회주의체제의 성격연구: 비교사회주의론적 접근”, 「통일정책연구」제 11권 2호. 2002
*조한범, 「러시아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과 사회갈등」통일연구원, 2005.
*조한범, 「남남갈등 해소 방안 연구」통일연구원, 2006.
*조한범, 「북한체제의 위기와 사회갈등」통일연구원, 2010.
선수 과목 통일 및 북한, 동북아 국제정치 관련 과목
이수 후
권장과목
 
기대효과 북한체제와 통일에 대한 인식제고
최근 강의계획서

 


교과목명 북한사회의 이해 학수번호(분반) soc1273 수강학년   교수명 조한범
학점/
시간
3 이수구분   수업요일/교시 금 2,3,4 강의실 서관
307호
소속 통일
연구원
과목
office
hour
  연구실 호실 E-mail hbcho@kinu.or.kr


1. 교과목개요

북한사회주의 체제의 특성과 한계를 비교사회주의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북한사회 변동을 전망함. 사회주의 체제의 등장을 근대화 과정과 연계하여 이해하고, 북한사회의 구조적인 특성에 대한 비교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함.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일반성과 특수성을 이해하고 탈사회주의 체제전환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북한사회의 현재와 미래를 전망함. 분단체제의 특성을 분석하고, 통일논의와 남북한 사회통합, 통일미래에 대한 사회학적 규명을 시도함.

2. 주별수업계획서
수업기간 수 업 내 용
1 3.2 ~ 3.8 통일과 북한
2 3.9 ~ 3.15 사회주의와 근대화의 이해
3 3.16 ~ 3.22 북한사회의 방법론적 이해 1
내재적 접근, 역사주의적 접근
4 3.23 ~ 3.29 북한사회의 방법론적 이해 2
비교발전론적 접근, 비교사회주의론
5 3.30 ~ 4.5 북한 사회주의체제 형성의 정치경제학
6 4.6 ~ 4.12 북한의 근대화·산업화
7 4.13 ~ 4.19 북한의 사회와 문화
8 4.20 ~ 4.26 [ 중 간 고 사 ]
9 4.27 ~ 5.3 사회주의체제 붕괴와 체제전환
10 5.4 ~ 5.10 북한의 체제위기와 사회갈등
11 5.11 ~ 5.17 북한 사회변동 전망
12 5.18 ~ 5.24 분단구조와 냉전문화
13 5.25 ~ 5.31 통일의 비용과 편익
14 6.1 ~ 6.7 성찰적 통일론의 이해
15 6.8 ~ 6.14 종합토론
16 6.15 ~ 6.21 [ 기 말 고 사 ]

< 3 ~ 4 주 > 북한사회의 연구 방법론적 이해 1,2

1. 내재적 접근


*송두율, “북한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사회와 사상」, 1988. 12월호. pp. 104-116
*송두율, “북한연구에서의 내재적 방법론 재론”, 「역사비평사」, 1995. 봄호, pp. 222-229
*이종석, “내재적·비판적 접근과 내재적 접근”, 1995. 한국사회학 후기학술대회. pp. 1-3
*이종석, “북한연구 어떻게 할것인가”,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1995. pp. 15-50
*강정인, “내재적 접근법에 관한 비판적 고찰” 「동아연구」, 1993. No. 26. pp. 1-54
*강정인, “북한연구방법론: 재론”, 「현대북한연구」, 창간호, 1998. pp. 7-42
*김연철, “북한연구에서 인식론 논쟁의 성과와 한계”, 「현대북한연구」, 창간호, 1998. pp. 43-64
*김연철, “내재적 접근법 논쟁의 반성과 평가”, 「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pp19-38.

2. 역사적 접근

*전상인, “북한연구의 역사사회학적접근”, 1995. 한국사회학 후기학술대회. pp. 1-5
*강정구, “북한사회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통일시대의 북한학」, 당대, 1996. 1, 2장, pp. 15-74
*심지연, 북한연구에 대한 역사적 접근, pp. 239-279, 「북한연구방법론」, 경남대, 2003.
*브루스 커밍스 저, 김동노 역,「브루스 커밍스의 한국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2001. 8장 ‘북한의 조합주의’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총서, 1986, pp. 11-29
*이종석, “유격대 국가론의 성과와 한계”, 「한국과 국제정치」, 10권2호, 1994. pp. 291-307
*와다하루끼, “유격대 국가 북한의 성립과 전개”, 「극동문제」, 12월호, 1993.
*와다 하루끼,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창작과 비평사, 1992. pp. 5-23
*스즈끼 마사유끼, 「김정일과 수령제 사회주의」, 중앙일보사, 1992. pp. 15-70

3. 비교발전론적 접근

*장경섭·박명규, “북한사회연구방법론: 비교발전론적 접근” 1995. 한국사회학 후기학술대회. pp. 1-3
*장경섭, “북한의 잠재적 시민사회: 이차의식, 이차경제, 이차사회” 「현상과 인식」, pp 133-156.
*서재진, 「또 하나의 북한사회」, 나남출판사, 1995.

4. 비교사회주의적 접근

*박형중, 「북한적 현상의 연구」, 연구사, 1994. pp. 3-30.
*박형중, "북한정치에서 특수성론", 「북한의 개혁개방과 체제변화」, 해남, 2004. pp. 3-62
*조한범, “북한사회주의체제의 성격연구: 비교사회주의론적 접근”, 「통일정책연구」제 11권 2호. 2002

< 5 - 6 주 > 북한 사회주의체제 형성의 정치경제학, 북한의 근대화․산업화

* 박형중, 「북한적 현상의 연구」, 연구사, 1994.

<7주> 북한의 사회와 문화

*서재진, 「또 하나의 북한사회」, 나남출판사, 1995.
*김채윤, 장경섭 편, “변혁기 사회주의와 계급계층”, 서울대 출판부, 1996.

<9주> 사회주의 체제붕괴와 체제전환

*크리스 하먼, 마크 헤인즈, 「소련의 해체와 그 이후의 동유럽」, 갈무리, 1995.
*정흥모, 「체제전환기의 동유럽 국가연구」, 오름, 2001. pp. 15-226.
*진승권, 동유럽 탈사회주의 체제개혁의 정치경제학1989-2000, 서울대출판부, 2003.
*서재진, 조한범외, 「사회주의 지배엘리트와 체제변화」, 미래인력연구센터, 1999.
*김성철외, 「북한의 경제전환 모형: 사회주의 국가의 경험이 주는 함의」, 통일연구원, 2001
*조한범, 「중국과 러시아의 경제체제개혁 비교연구」통일연구원, 1997.
*조한범, 「체제전환기러시아의 사회상 연구」통일연구원, 2001.
*조한범, 「러시아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과 사회갈등」통일연구원, 2005.

<10주> 북한체제의 위기와 사회갈등

*서재진․조한범 외, 「사회주의 지배엘리트와 체제변화」미래인력연구센터, 1999.
*조한범, 「북한체제의 위기와 사회갈등」통일연구원, 2010.

<11주> 북한사회변동전망

* 박형중, 「북한의 개혁개방과 체제변화」, 해남, 2004. pp. 63-250.
*서재진․조한범 외, 「세계체제이론으로 본 북한의 미래」황금알, 2004.
*조한범 외, 「북한사회 위기구조와 사회변동 전망: 비교사회론적 관점」통일연구원, 2013

<12주> 분단구조와 냉전문화

*조한범, 「남남갈등 해소 방안 연구」통일연구원, 2006.
<13주> 통일의 비용과 편익
*조한범 외,「정치․경제․사회분야 통일비용․편익 연구」통일연구원, 2013.
<14주> 성찰적 통일론의 모색
*조한범 외, 「지속가능한 통일론의 모색」한울 2014
*조한범 외,「정치․경제․사회분야 통일비용․편익 연구」통일연구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