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인진 (YOON, In-Jin) ,尹麟鎭
- 직위
- 교수
- 전화번호
- 02-3290-2490
- 연구분야
- 사회심리학, 이주와 이민자, 사회갈등
- 사무실
- 아세아문제연구소 205호
- 홈페이지
- http://yoonin.hosting.paran.com/
- 이메일
- yoonin@korea.ac.kr
학력
-
- 고려대학교 사회학 학사(1985) - 시카고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사회학 석사(1988) - 시카고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사회학 박사(1991)
경력 및 수상
-
- 시카고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박사후연구원(1991-1992) -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 캠퍼스 아시안 아메리칸 학과 조교수(Asian American Studies Department,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1992-1995) - 시카고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최고 논문상(Mark Parry Galler Award for the best dissertation in the Social Science Division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1991) - 대한민국학술원 사회과학 우수학술도서 선정(『코리안 디아스포라』, 2005) - BK21 갈등사회인재양성교육연구단 최상위 사업단 선정 표창(고려대학교, 2007) - 대한민국학술원 사회과학 우수학술도서 선정(『한국인의 갈등의식』, 2008) - 재외한인학회 우수저술상 수상(『재외한인연구의 동향과 과제』, 2012) - 대한민국학술원 사회과학 우수학술도서 선정(『한국인의 갈등의식의 지형과 변화』, 2013)
학부,대학원 담당과목
-
사회심리학, 국제이주와 다문화사회, 세계의 디아스포라
단행본
-
- On My Own: Korean Businesses and Race Relations in America. 1997.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자아와 사회: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사회심리학』(공역). (Self and Society: A Symbolic Interactionist Social Psychology) (John P. Hewitt). 2001. 학지사. - 『독립국가연합 고려인의 생활과 의식』. 200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적응‧정체성』. 2004. 고려대학교출판부. - 『한국인의 갈등의식: 2007년 한국인의 갈등의식조사 결과분석』 (공저). 2009 고려대학교출판부. - 『북한이주민: 생활과 의식, 그리고 정착지원정책』. 2009. 집문당. -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공저). 2010. 한국학술정보. - 『동북아의 이주와 초국가적 공간』(공저). 2010. 아연출판부. -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과 남한주민과의 상호인식』(공저). 2010.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 『재외한인연구의 동향과 과제』. 2011. 북코리아. (윤인진 엮음) - 『한국인의 갈등의식의 지형과 변화』(공저). 2012. 고려대학교출판부. - 『세계의 한인이주사』. 2013. 나남. -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2013. 한울. - 『한국 다문화주의의 성찰과 전망』(윤인진·황정미 공편). 2014. 아연출판부. - 『기록으로 보는 재외한인의 역사: 이주와 정착 그리고 발전의 시간들 – 아메리카』(공저). 2016.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 『이민정책론』(공저). 2016. 박영사. - 『한국인의 정체성: 변화와 연속, 2005-2015』(이내영·윤인진 공편). 2016. 동아시아연구원. - 『분단 70년의 남북한 사회·문화』(공저). 2016. 선인. - English Sourcebook of Korean Diaspora. (윤인진·정영훈 공편) 2017. 한국학중앙연구원.
북챕터
-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1995. The Asian American Encyclopedia, edited by Franklin Ng. New York: Marshall Cavendish Corp., pp. 894-906. “Korean American Business.” 1995. The Asian American Encyclopedia, edited by Franklin Ng. New York: Marshall Cavendish Corp, pp. 860-863. “계급, 빈곤, 건강.” (윤인진·이승미 공저) 2000. 『사회변화와 보건복지』. 제2부 건강의 다양성, pp. 81-106. 한국보건사회학회 편. “남북한 사회통합의 조건과 전망.” 2001. 『남북한 사회통합의 길: 그 현황과 전망』. 전성우 엮음. 서울: 금왕출판사, pp.9-64. “민족분산과 이주의 역사와 현황: 미국.” 『민족통합의 새로운 개념과 전략(하):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의 민족통합』. 2002. 김인영 편, 한림대학교 민족통합연구소, pp.23-54. “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거리감: 장애인, 북한이탈주민, 외국인노동자, 중국동포를 중심으로.” 2002. 『사회운동과 사회변동』(임희섭 교수 정년퇴임논문집). 나남출판. pp.593-645. “재외한인의 인권.” 2004. 『2004 인권백서』. 제2부 영역별 인권 상황 제8장 사회적 소수자와 인권 제4절 “재외한인의 인권.” 국가인권위원회, pp. 492-506. “The Korean Diaspora.” 2004. Encyclopedia of Diasporas: Immigrant and Refugee Cultures Around the World, Volume 1: Overviews and Topics, edited by Melvin Ember, Carol R. Ember, and Ian Skoggard. Kluwer/Plenum Publishers, pp. 201-213. “북한 이탈주민의 직장적응과 문제점.” 2005. 『북한 이탈주민의 취업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제2장. 한국노동연구원, pp. 26-73. “코리아타운의 형성과정과 재미한인사회 연구방법.” 2005. 『재외동포사회의 역사적 고찰과 연구방법론 모색』. 국사편찬위원회, pp. 1-41. “탈북자와 빈곤.” 2006. 『한국사회의 신빈곤』. 한울아카데미, 11장, pp.417-446. “재외한인.” 2006. 『인구대사전』. 한국인구학회, pp. 2439-2450. "신이민의 기원과 특성." 2007. 『북미주 한인의 역사(상)』 (재외동포사 총서 4). 국사편찬위원회, pp. 127-161. “코리아타운의 형성과 발전.” 2007. 『북미주 한인의 역사(상)』 (재외동포사 총서 4). 국사편찬위원회, pp. 162-190. “고려인의 새로운 정착과 정체성.” 『러시아 중앙아시아 한인의 역사(상)』. (재외동포사총서 제7권). 국사편찬위원회. pp. 343-375. “국제이주인구의 증가: 외국인 근로자와 결혼이민자.” 2008. 『한국의 사회동향』. 통계청, pp.24-29. “The Intergenerational Transition in Occupation and Economic Status among Korean Americans." 2009 (May). Korean American Economy & Community in the 21st Century, edited by Eui-Young Yu, Hyojoung Kim, Kyeyoung Park, Moonsong David Oh. Los Angeles: KAEDC(Korean American Economic Development Center), pp.423-453. “한민족 이산(Diaspora)과 한민족공동체 형성방안.” 2009. 『민족과 국민』. 서울: 혜안, pp.259-306. “민족에서 국민으로: 재외동포, 북한이탈주민,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인식변화.” 2011.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여론조사를 통해 본 한국인의 정체성』(강원택·이내영 편). 제7장. 동아시아연구원, pp. 167-189. “Circumstantial Citizens: North Korean ‘Migrants’ in South Korea.” Contested Citizenship in East Asia. (ed. Chang Kyung-Sup and Bryan S. Turner). Routledge, pp. 218-239. “The Korean Diaspora from Global Perspectives.” Chapter 3 in Korean Immigrants in Canada, edited by Samuel Noh, Ann H. Kim, and Marianne S. Noh.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p. 37-52. “Is Multiculturalism Valid for South Korea: Multiculturalism Discourse and Policy in South Korea.” 2014. Acta of Eurkorea 2013: European Perspectives of Korea. Trauben Publishing House. “From a Migrant Integration of Distinction to a Multiculturalism of Inclusion.” 2014. In Global and Asian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edited by Graziano Battistella.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pp. 101-117.
연구논문
-
“The Changing Significance of Ethnic and Class Resources in Immigrant Businesses: The Case of Korean Immigrant Businesses in Chicago.” 1991.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5: 303-332. “The Growth of Korean Immigrant Entrepreneurship in Chicago.” 1995. Ethnic and Racial Studies 18(2): 315-335. “Attitudes, Social Distance, and Perceptions of Influence and Discrimination among Minorities.” 1995. International Journal of Group Tensions 25(1): 35-56. “Immigrant Small Business and International Economic Linkage: A Case of the Korean Wig Industry in Los Angeles, 1968-1977.” (Ku-Sup Chin and David Smith와 공저). 1996.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30: 485-510. “Self-Employment in Business Among U.S. Ethnic Groups.” 1996.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and Development 25: 124-154. “재미 한인의 민족 정체성과 애착의 세대간 차이.” 1996. 『재외한인연구』 6: 66-95. “양적 통계 자료의 사회 과학적 이용.” 1996. 『고려사회학논집』 10: 113-140, “A Cohort Analysis of Korean Immigrants' Class Backgrounds and Socio-economic Statuses in the United States.” 1997.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and Development 26: 61-81. “다인종 사회에서의 소수민족관계.” 1997. 『한국사회학』 31: 529-562. “중앙아시아 한인의 언어와 민족정체성.” 1997. 『재외한인연구』 7: 63-120. “서울시의 사회계층별 거주지분화 형태와 사회적 함의.” 1998. 『서울학연구』 10: 229-270. “Who Is My Neighbor?: Koreans Perceptions of Blacks and Hispanics as Employees, Customers, and Neighbors.” 1998. Development and Society 27(1): 49-75. “재일동포의 민족교육과 모국수학의 현황과 발전방안.” (이정훈과 공저) 1998. 『재외한인연구』7: 175-222.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1999. 『한국사회학』 33: 511-549. “독립국가연합 한인의 민족관계에 관한 의식.” 1999. 『재외한인연구』 8: 111-143. “한국의 도시와 지역공동체의 변화와 전망.” 1999. 『한국사회』 2: 199-238. “남북한 사회통합과 재외동포의 역할.” 2000. 『統一問題硏究』 12(1): 5-24. “미국으로의 한인 이주와 이민가족의 세대갈등.” 2000. 『재외한인연구』 9: 1-38. “소수차별의 메커니즘.” 2000. 『사회비평』 25: 24-36. “Forced Relocation, Language Use, and Ethnic Identity of Koreans in Central Asia.” 2000. Asian and Pacific Migration Journal 9(1): 35-64. “탈북자의 자립정착을 위한 자조모델-자영업 기반형성을 중심으로.” 2000. 『아세아연구』 43(2): 143-183. “탈북과 사회적응의 통합적 이해: 국내 탈북자를 중심으로.” 2000. 『현대북한연구』 3(2): 123-184. “North Korean Diaspora: North Korean Defectors abroad and in South Korea.” 2001. Development and Society 21(1):1-26. “재외동포 본국진출의 제도화 필요성과 과제.” 2001. 『통일문제연구』 13(1): 75-108. “남북한 사회통합의 새로운 모델 모색.” 2001. 『아세아연구』 44(1): 199-228. “‘탈북자’는 2등 국민인가?” 2001. 『당대비평』 16: 222-235. “한국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건강지위의 차이.” (우해봉과 공저) 2001. 『보건과 사회과학』 9: 67-106. “토론토 지역 한인의 생활과 의식.” 2001. 『재외한인연구』 11: 5-56. “한국사회의 부정부패와 시민성.” (조대엽과 공저) 2001. 『한국사회』 4집: 83-118. “Korean American Experience: Ethnic Mobilization as a Mode of Incorporation.” 2001. Review of Korean Studies 4(2): 11-54. “독립국가연합의 정치경제적 상황과 고려인의 당면과제.” (장원창, 이광규, 이종훈, 심헌용과 공저) 2001. 『아세아연구』 44(2): 145-173. “인도네시아의 민족관계: 화교를 중심으로.” (이유선과 공저) 2002. 『아세아연구』 45: 227-274. “세계 한민족의 이주․정착의 역사와 한민족 정체성의 비교연구: 중국, 일본, 독립국가연합, 캐나다, 미국의 한인.” 2002. 『재외한인연구』 12(1): 5-64. “적극적 조치(Affirmative Action)에 대한 인식과 태도-장애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대학생 의식조사-.” (윤인진‧김상학 공저) 2003. 『경제와 사회』 58: 222-248.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2003. 『한국사회학』 37(4): 101-142. “캐나다 한인의 이민과 사회적응.” 2003. 『재외한인연구』 13(1): 133-166. “중국 조선족의 도시이주, 사회적응, 도시공동체: 청도 사례연구.” 2003. 『재외한인연구』 13(2): 49-89. “국내 탈북자의 건강과 의료.” (김숙희와 공저) 2005. 『보건과 사회과학』 17: 149-182. “한국노인의 경제적 지위 결정요인과 세대간 지원의 역할.” (우해봉과 공저) 2005. 『한국노년학』 25(2): 73-93. “남북한 재외동포정책의 비교.” 2005. 『한국사회』 6(1): 33-71. “여가활동의 사회집단별 차이와 불평등.” (김상운과 공저) 2005. 『사회과학연구』 13(2): 162-202. “세계화 시대에 있어서 민족주의의 안과 밖.” 2005. Journal of Peace Studies (경희대학교 국제평화연구소) 12(1): 111-144. “재외동포 차세대 현황과 한민족공동체로의 포용방안: 재미동포를 중심으로.” 2005. 『단군학연구』 13: 191-243. “캐나다의 최근 한인 이민자들의 정착 상황.” 2005. 『캐나다논총』 11: 79-108. “사회통합을 위한 언어정책.” 2006. 『새국어생활』 16(1): 83-100. “사회조사방법을 통한 재외한인연구.” 2006. 『재외한인연구』 16: 5-44. “소수자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통합의 과제: 북한이주민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진복과 공저) 2006. 『한국사회』 7(1): 41-92. “탈북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과의 관계.” (박윤숙과 공저) 2007. 『한국사회학』 41(1): 124-155. “A Comparison of the North and South Korean Policies of Overseas Koreans.” 2007. Korean and Korean American Studies Bulletin 16 (Nos 1/2) (2007.2): 80-99. “북한이주민의 건강과 경제적응의 관계.” 2007. 『보건과 사회과학』 21: 65-97. “한국 민족주의 담론의 전개와 대안적 민족주의의 모색.” 2007. 『한국사회』 8(1): 5-30. “북한이주민의 사회적응 실태와 정착지원방안.” 2007. 『아세아연구』 50(2): 106-143. “남한 내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심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준비도에 관한 연구.” (백혜정·길은배·윤인진·이영란 공저) 2007. 『한국청소년연구』 18(2): 183-211. “북한이주민 가족의 적응과 가족관계의 변화.” (윤인진 외 4인 공저) 2007. 『한국가족복지학』 12(2): 89-108. “쓰레기 매립지와의 거리에 따른 매립지 수용의 결정요인 및 중요도 변화 분석.” (윤인진 외 4인 공저) 2007. 『서울도시연구』 8(4): 53-71. “자녀 양육방식에 관한 직업계층 및 국가별 비교.” (윤인진 외 3인 공저) 2007. 『한국청소년연구』 18(3): 167-192. “International Family Migration and Labor-Market Outcomes of Immigrant Couples: Do Types of Migration Matter?”. 2007. (Co-authored with Haebong Woo). Development and Society 36(2): 49-75. “캐나다 한인의 현황과 사회경제적 지위: 세대별 및 민족집단별 비교.” (윤인진 외 2인 공저) 2007. 『캐나다논총』 13(2): 173-193. “우리나라 의사집단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직 자율성과 이념 요인.” (윤형곤, 윤인진 외 3명 공저) 2008. 『보건행정학회지』 18(1): 63-84. “Korean Diaspora and Transnationalism: The Experience of Korean Chinese." 2008. 『문화역사지리』 20(1): 1-18.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역할을 중심으로.” 2008. 『한국사회학』 42(2): 72-103. “경쟁리스크 생존모형을 통한 청년층의 첫 일자리 획득 분석.” (우해봉·윤인진 공저) 2008. 『한국청소년연구』 19(2): 225-250. “한민족 이산(Diaspora)과 한민족공동체 형성방안.” 2008. 『동방학지』 142: 179-229. “불완전한 반복측정 자료의 보정방법.” (우해봉·윤인진 공저) 2008. 『조사연구』 9(2): 1-27. “사회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계층의식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윤인진·김상돈 공저) 2008. 『도시행정학보』 21(2): 161-194. “북한 이주민의 성 역할 태도와 부부권력의 변화와 지속.” (임인숙·윤인진 공저) 2008. 『가족과 문화』 20(3): 99-126. “공익의식과 사회갈등.” 『한국사회』 9(1): 119-152. “재미동포 차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성취: 세대별 및 민족집단별 비교.” (윤인진·임창규 공저) 2008. 『세계지역연구논총』 26(3): 409-438. “Social Inclusion and Length of Stay as Determinants of Health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Co-authored with Kunhee Park, Youngtae Choe, and In-Jin Yoon)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54(3): 175-182. “여성 결혼이민자의 자활모델로서의 창업: ‘시민자원’을 중심으로.” (윤인진·송영호 공저) 2009. 『한국가족복지학』 14(1): 25-44. “이산가족 정체성의 세대별 비교와 결정요인 연구.” 2009. 『아세아연구』 52(1): 178-300.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ism Discourse and Multicultural Policy in South Korea: With a Focus on the Roles of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2009. Trans-Humanities 1 (June): 1-36. “이중국적법 개정논의의 담론 분석.” 2009. 『재외한인연구』 19: 5-31. “여가활동의 변화와 경제활동이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1999년과 200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의 비교.” (윤인진·배은식 공저) 2009. 『여가학연구』 7(2): 89-111. “한국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200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4: 65-88. “재외동포의 현황과 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방향.” 2010. 『국어교육』 131: 49-77.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before and after the '97 Korean Economic Crisis: Macroeconomic Context and Differential Impacts of Education.” (Co-authored with Haebong Woo) 2010.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4(6): 87-109. “Multicultural Minority Groups and Multicultural Coexistence in Korean Society.” Korea Observer 41(4): 517-557. “재미한인 청년의 정치의식과 정치참여: 로스앤젤레스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재외한인연구』 23: 129-161.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윤인진·송영호 공저) 『통일문제연구』 23(1): 143-152. “이산가족의 유형화와 이산가족 교류 활성화 방안.” (윤인진·윤여상·송영호 공저) 『민족연구』 46: 96-111. “한국인의 갈등의식의 특성과 변화: 2007년과 2010년 한국인의 갈등의식조사 결과 분석.” 『분쟁해결연구』 9(2): 135-166. “세대 간 직업계층의 계승과 직업 지속성 간의 관계.” (윤인진·임창규 공저) 『직업능력개발연구』 14(2): 127-151. “다문화 가족의 언어 사용과 아동의 사회정체성.” (윤인진·김은비 공저) 2012. 『이중언어학』 48: 273-308. “해외입양인의 정체성과 사후관리 서비스 만족도.” (윤인진·송영호·양대영 공저) 2012. 『재외한인연구』 26: 7-39. “Korean Development and Migration." (Co-authored with Josh DeWind, Eun Mee Kim, Ronald Skeldon, and In-Jin Yoon) 2012.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38(3): 371-388. “Migration and the Korean Diaspora: a Comparative Description of Five Cases.” 2012.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38(3): 413-435. “민족교육, 국민교육, 세계시민교육.” 『민족연구』 50: 4-22. “북한이주민의 사회적응과 문화변용.” 『한국학연구』 41: 5-37.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고전 및 현대 연구 검토.” 『재외한인연구』 28: 7-47. “재외동포정책의 목표와 추진체계의 재정립.” 『민족연구』 54: 4-21. “북한이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민족의식과 다문화의식.” (윤인진·송영호 공저)『재외한인연구』 30: 7-40. 윤인진·양대영. 2013. “한국인의 종교성과 종교적 배타성: 대인관계와 정치 후보자 지지를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56(2): 226-259. 이윤경·윤인진. 2013. “왕징 코리아타운 내 조선족과 한국인 간의 상호인식과 사회관계: 다자적 동족집단모델의 도입.” 『한국학연구』 47: 5-32. “다문화적 소수자연구와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대상특수적 접근에서 관점보편적 접근으로.” 2013. 『북한이탈주민연구』 2: 129-156. “Brain Circulation of South Korean Students in Japan and China.” (Co-authored with Kyung-Soo Rha, Jongtae Kim, and Jung-Mee Hwang) 2013. Asian and Pacific Migration Journal 22(4): 501-525. “독립국가연합 고려인의 사회 정체성과 언어 사용 실태.” 『재외한인연구』 33: 69-91. 이윤경·윤인진. 2015. “중국 내 한인의 초국가적 이주와 종족 공동체의 형성 및 변화 : 베이징 왕징 코리아타운 사례 연구.” 『중국학논총』 47: 271-305. 윤인진·권일남·김태균·배진숙·송영호. 2015. “재외동포에 대한 국민인식: 민족의식, 다문화 수용성, 접촉 경험의 효과.” 『통일문제연구』 27(1): 31-68. Yoon-Sun Kim and In-Jin Yoon. 2015. “Multiculturalism Is Good, But We Are Not Multicultural: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ism.” 『한국교육연구』 21(2): 325-350. “한국인의 갈등의식 현황과 변화 : 제1~3차 한국인의 갈등의식조사 결과 분석.” 『한국사회』 16(1): 3-36. Yoon, In-Jin, and Chich Thiang Koo. 2015. “Claiming National Membership in Multiethnic Malaysia: The Role of Dominant Ethnicity.” 『아세아연구』 58(2): 274-310. 송영호·윤인진. 2015. “중국 조선족의 초국가적 가족 유형과 청소년 일탈: 부모유대와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태연구』 22(3): 119-160. Yoo, Taebum, and In-Jin Yoon. 2015. “Becoming a Vegetarian in Korea: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Vegetarian Diets in Korean Society.” Korea Journal 55(4): 111-135. Seongkyung Cho, and In-Jin Yoon. 2015.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Post-materialism: The Effects of Welfare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Security.” Development and Society 44(3): 495-533. “다문화 소수자에 대한 국민인식의 지형과 변화.” 2016. 『디아스포라연구』 10(1): 1-30. 윤인진·김희상. 2016. “재외동포 귀환 이주민 공동체의 형성과 현황.” 『한국민족문화』 60: 37-81. 김희상·윤인진. 2016. “미디어 접촉에 따른 북한이탈주민 수용성의 변화 연구.” 『사회과학연구』.
학술대회 발표논문
-
윤인진. 2015. “코리안 디아스포라: 조선족동포와 고려인 동포를 중심으로.” 제1회 월드 디아스포라포럼. 한국뉴욕주립대학교. 1월 19일. 윤인진. 2015. “Designing New Concepts and Indices of Migrant Integration and Multiculturalism for Northeast Asia.” International Symposium on Natural Disasters and Human Mobilities: Research on Non-Traditional Security in East Asia. 2015.2.5. Graduate School of Asia Pacific Studies, Waseda University. 윤인진. “Challenges of Cultural Diversity in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Migration, Migrant Integration, and Multiculturalism.” Winter School of Campus Asia EAUI Program, Graduate School of Asia Pacific Studies, Waseda University. 2015.2.3. 윤인진·김희상. 2015. “미디어 접촉이 북한이탈주민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SSK 연구단 공동학술대회 「다문화 수용성과 분배적 정의」. 고려대 운초우선교육관. 2015.2.25. 윤인진. 2015. “Onward Migration of Overseas Koreans and Pluralization of the Overseas Korean Community.” Proceedings of Cultural Experiences and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Hungary. (제1회 한국-헝가리 문화포럼 발표논문집). 국제교류재단,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Hungarian Academy of Science), 한국문화원 공동 주최.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야코비누스 홀. 4월 23일. Pp. 5-23. 윤인진. 2015. “전환기의 북한이탈주민과 사회통합.” 『전환기의 북한이탈주민과 정부 정책』 북한이탈주민 정책 공동 학술대회 (남북하나재단·아세아문제연구소 HK사업단 공동 주최). 고려대 운초우선교육관 203호. 6월 4일, pp. 19-58. 윤인진·조성경. 2015. “민주주의로부터의 도피.”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경상대학교. 6월 19일. Yoon, In-Jin, and Seongkyung Cho. 2015.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Post-materialism: The Effects of Welfare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Security.” Paper presentation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oward the Construction of East Asian Sociology: Challenges of Asian Student Survey and beyond. College of Liberal Arts, Korea University, Juy 27-28, 2015. 윤인진·배진숙. 2015. “재외동포 정책의 전개와 한국 내 재외동포 귀환 이주민 사회의 형성.” 재외한인학회·국가인권위 공동 학술대회 『국내 거주 재외동포와 인권』 발표논문. 숙명여대 백주년기념관 201호. 8월 21일, pp. 3-31. Yoon, In-Jin, and Seongkyung Cho. 2015. “Why Are Countries Different in Post-materialism?: The Effects of Welfare and Insecurit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Hilton Chicago. Chicago, Il. August 24. 윤인진. 2015. “재미동포 차세대 정체성 형성의 나비효과.” 「2015년 재외한인학회·한민족공동체연구센터 공동학술대회: 재외동포 차세대와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 고려대 청산MK문화관 201호. 2015년 9월 11일. 윤인진. 2015. “해외한인연구 중앙허브 사업단의 주요 성과와 향후 과제.” 「2015년 해외한인연구 사업단 공동 워크숍」 발표논문. 인하대 사회과학대학. 2015년 10월 16일. 윤인진. 2015. “전환기의 북한이탈주민과 사회통합.” 2015년 제1차 네트워킹 심포지엄. LW 컨벤션. 10월 23일(금). 윤인진. 2015. “재외동포 차세대의 개념 정의와 연구방법.” 「재외동포 차세대의 연구와 정책 개발을 위한 워크숍」. 재외동포재단. 11월 19일. 윤인진. 2015. “한국인의 다문화와 이주민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인은 다문화와 이주민에게 냉담해지는가?”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서강대학교. 12월 18일. 윤인진·한기덕. 2015. “매스미디어에 반영된 다문화적 소수자집단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서강대학교. 12월 18일. 윤인진. 2016. “다문화 소수자에 대한 국민의식의 지형과 변화.” 한국인의 시민의식과 국가정체성.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016년 1월 15일). 윤인진·손인서. 2016. “재외동포 주류화의 개념과 지표.” 「재외동포의 주류화」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 2016년 4월 29일. 고려대 청산 MK문화관 201호. 윤인진. 2016. “글로벌 한민족 네트워크의 현주소: 재미한인의 한민족 네트워크.” 2016 재외동포 전문가 포럼 발표자료집. 재외동포재단·중앙일보 주최. 나인트리컨벤션 테라스홀. 2016.6.3. pp. 89-102. 윤인진. 2016. “한국인의 정체성과 다문화 소수자 인식: 변화와 연속.” 2016년도 전기 한국사회학대회 사회심리학분과 발표. 2016년 6월 17일. 이화여대. 윤인진. 2016. “한국인의 사회심리의 이해 : 개인주의-집단주의 구분을 넘어.” 지린대 동북아연구원-고려대아세아문제연구소 공동 학술회의 발표. 지린대동북아연구원. 2016년 7월 1일. Hwajin Shin and In-Jin Yoon. 2016. “Spatial Mobility and Dispersion of Ethnic Koreans: the Case of Korean Chinese in Seoul.”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Seattle. August 19~22, 2016. In-Jin Yoon and Joan Yoon. 2016. “The Effects of Korean Wave on the Younger Generation of Overseas Koreans.” Presentation at the 4th World Association for Hallyu Studies World Congress. Oriel College, University of Oxford. September 26-28, 2016. 윤인진. 2016. “International migration, migrant integration, and 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 프랑스국립극동연구원(The 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EFEO), 10월 17일.